최근 [연평해전]과 [극비수사] 그리고 [소수의견] 등 한국영화가 오랜만에 기지개를 펴고 있다. [터미네이터 제니시스]와 [쥬라기 월드] 등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와 맞서서 박스오피스 상위권을 유지하면서 활기를 띄는 모습인데...올해 상반기 영화와 극장가를 돌아보고 하반기를 전망해보는 시간을 갖겠다. 자세한 소식 스포츠동아 윤여수 기자와 함께 알아보자<br /><br /><br />Q) 올해 상반기 영화를 돌아볼 때 가장 확연했던 흐름이 있었던 것 같다. 간단히 설명한다면 어떨까.<br /><br />A) 한국영화의 침체, 그리고 외화 대작의 성공이라고 할 수 있겠다. 최근 몇 년 동안 한 해 두 편씩이나 1000만 관객을 등장시키고 또 점유율 면에서도 외화를 압도할 만큼 한국영화가 관객의 사랑을 받았다. 하지만 올해 상반기는 전혀 다른 양상이었다. 이른바 대박 흥행은커녕 300만 이상 관객을 모은 이른바 중박 영화가 몇 편 되지 않았다. 또 한국영화 관객수도 지난해보다 2.7% 줄어들었다. 반면에 외화는 블록버스터들의 잇단 흥행이 극장가 관객을 이끌면서 한국영화의 침체 상황과는 뚜렷하게 대비를 이뤘다. 관객수에서도 불과 0.6%가 줄어드는 데 그치면서 한국영화 점유율을 42.5%로 떨어뜨렸다. 한국영화의 이런 점유율은 2009년 이후 역대 가장 낮은 수치이다.<br /><br />Q) 어떤 영화가 흥행했나.<br /><br />A) 영화진흥위원회가 운영하는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최고 흥행작은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인 [어벤져스-에이지 오브 울트론]로 1천49만여명을 동원했다. 뒤이어서 [킹스맨] [쥬라기월드] 등이 400만 이상 관객을 불러들였다. 여기에 [매드맥스-분노의 도로]나 [분노의 질주-더 세븐] 등 대작들도 300만명 이상 관객을 동원하면서 올해 상반기 외화의 흥행세를 이끌기도 했다. <br /><br />Q) [어벤져스-에이지 오브 울트론]에 대한 기대감이 컸던 것일까. 상당한 흥행세를 나타냈다.<br /><br />A) [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]이 1000만 관객을 넘기면서 그 흥행 파워를 과시했는데...특히 지난해 서울을 비롯해서 한국에서 일부 장면을 촬영하면서 기대감을 더욱 키우기도 했다. [어벤져스]는 할리우드의 대표적인 블록버스터 시리즈물이기도 한데...시리즈 자체에 대한 관심과 함께 한국 촬영분량이 영화 속에 어떻게 담겼는지에 대한 호기심도 크게 작용했다. 이에 앞서서 2월에는 [킹스맨:시크릿 에이전트]가 개봉했고 5월에는 [매드맥스:분노의 도로]가 관객을 만나면서 흥행에 성공했는데...특이한 것은 두 영화가 개봉 이전엔 흥행 기대감이 크지 않았다는 작품이었다는 점이다. [킹스맨:시크릿 에이전트]는 스파이 혹은 첩보물에 대한 신선한 시선과 기획력 그리고 [매드맥스:분노의 도로] 시리즈에 대한 관심과 함께 긴장감 넘치는 액션영화의 모범이면서도 세상을 바라보는 철학적 시선에 대한 평가까지 받으면서 관객의 사랑을 받았다.<br /><br />Q) 하지만 한국영화는 300만 관객을 넘긴 영화도 드물었는데..<br /><br />A) 그렇다. 흥행 톱 10을 따져보면 지난해 12월 개봉해서 올해 초까지 상영된 [국제시장]을 제외하면 한국영화는 10위권에서 세 편에 불과하다. [조선명탐정-사라진 놉의 딸]과 [스물]이 300만 관객을 넘어서면서 10위권 안에 들었다. 여기에 지난달 개봉한 [극비수사]가 233만여명의 관객을 불러모으면서 10위를 차지했다. 물론 [강남 1970]과 [악의 연대기]가 200만 관객을 넘기면서 손익분기점을 넘기기도 했다. 하지만 작년 같은 기간 [수상한 그녀]를 비롯해서 [역린] [끝까지 간다] [표적] 등이 10위 안에 들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. 특히 지난해 [수상한 그녀]의 경우 [엑스맨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]나 [어메이징 스파이더맨2] [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] 같은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보다 두 배 이상 더 많은 관객을 모았다는 점에서 올해 상반기 한국영화의 침체 상황을 떠올리게 한다. <br /><br />Q) 한국영화의 침체 요인은 뭘까.<br /><br />A) 전략과 기획의 실패가 아닐까 한다. 앞서 말씀드린 외화들이 크게 흥행하는 가운데서도 이에 맞서는 한국영화는 찾아볼 수 없었다. 실제로 4월23일 개봉한 [어벤져스:에이지 오브 울트론]과 맞붙은 한국영화는 제작비 4억원의 [약장수]가 유일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