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최민기 / 사회부 기자<br /><br />[앵커] <br />YTN이 단독으로 보도했던 중식당을 대상으로 한 전화협박 범죄에 대해서 경찰이 전담팀을 구성해 전방위 수사에 나섰습니다. <br /><br />그런데 이 와중에 중식당이 아닌 또 다른 음식점, 배달 전문으로 하는 곳이 많죠. 치킨집까지 업종을 가리지 않고 무차별적인 전화폭탄이 이어져서 업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고 합니다. <br /><br />이 소식 취재한 최민기 기자와 함께 얘기 나누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일단 저희들이 중식당을 대상으로 전화협박범죄, 협박이라기보다도 계속 전화를 걸어대는 범죄에 대해서 보도해 드렸는데 일단 그 내용부터 살펴보죠. <br /><br />어떤 거였죠? <br /><br />[기자] <br />이게 같은 번호로 하루에 수십 통, 수백 통 전화가 오니까 얼마나 황당하겠습니다. 특히 배달을 주로 하는 중식당을 대상으로 한 범죄이기 때문에 더 이게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는데요. <br /><br />같은 전화를 계속해서 반복해서 전화를 겁니다. 그렇게 해서 배달과 예약 전화를 아예 받지 못하게 영업을 방해하는 수법인데요. 배달을 주로 하는 중식당의 특성을 악용한 겁니다. <br /><br />짧게는 5초 단위로 전화를 걸었다가 끊었다가를 반복하면서 전화기를 통화 중 상태로 만듭니다. 그럼 배달도 안 되고 전화도 안 될 거지 않습니까? <br /><br />그러면 그때 전화를 걸어서 중단을 해 줄 테니까 돈 100만 원만 달라 이렇게 요구를 합니다. 그런데 이 돈을 주지 않으면 업무 마비가 올 정도로 전화폭탄을 다시 지속합니다. <br /><br />그럼 식당 주인들은 이 전화를 차단할 수도 없고 식당 번호를 바꿀 수도 없기 때문에 차라리 돈을 주고 장사를 제대로 하자 이렇게 판단하는 지경에. <br /><br />[앵커] <br />돈 주고 말자. <br />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그런 지경에까지 이르게 되는 겁니다. <br /><br />[앵커] <br />그러니까 전화배달 업종의 약점을 이용해서. 전화 못 받으면 장사를 못 하니까. 아주 나쁜 범죄인데 그런데 중식당뿐만 아니라 지금 치킨집도 이런 전화를 받는 곳이 있다고요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그렇습니다. 저희가 원래 최초로 보도했던 곳도 중식당이었고 그다음에 추가 제보가 들어온 곳도 모두 중식당이었습니다. <br /><br />그래서 중식당의 괴담이 아니냐 이런 얘기도 돌았었는데 이제 이게 얼마 전부터는 치킨집으로까지 전화가 옮겨오면서 업종을 가리지 않고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저희가 만나본 치킨집 사장님도 이 전화 때문에 굉장히 골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061408001756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