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영남권 신공항 사업은 검토가 시작된 이후 10년 동안 대선 공약 제시와 사업 백지화, 그리고 재추진으로 이어지는 우여곡절을 겪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신공항은 또 백지화되면서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론이 났습니다.<br /><br />그동안 과정을 계훈희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2006년 말 노무현 대통령은 신공항 추진을 지시합니다.<br /><br />김해공항 이용자가 빠르게 늘어 포화 상태에 이를 수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겁니다.<br /><br />1년 뒤 정부는 "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"는 내용의 1단계 용역 결과를 발표합니다.<br /><br />이어,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이명박 후보는 신공항 건설을 공약으로 내겁니다.<br /><br />2009년 4월 5개 후보지가 발표되면서, 경남 밀양과 부산 가덕도가 유력하게 떠오릅니다.<br /><br />밀양을 지지하는 대구와 경북, 경남, 울산, 가덕도를 희망하는 부산 사이에 난타전에 가까운 갈등이 불거집니다.<br /><br />심각한 대립 끝에 결국 2011년 4월, 신공항은 없던 일이 됩니다.<br /><br />[이명박 / 당시 대통령 (2011년 4월) : 신공항 공약을 지킬 수 없게 된 것에 대해서 저는 개인적으로 매우 안타깝고 송구스럽게 생각합니다.]<br /><br />2012년 박근혜·문재인 두 대선 후보가 공약으로 내걸면서, 신공항 논란은 다시 불붙습니다.<br /><br />2013년 4월 정부가 재추진을 발표하고, 이듬해 8월 "용역 결과 수요가 충분하다"고 결론짓습니다.<br /><br />[최정호 / 당시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 (2014년 8월) : 정부는 이번 용역을 시행함에 있어서 그 어느 때보다 객관성을 확보하고….]<br /><br />그리고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가 아닌 프랑스 기관에 사전 타당성 검토 용역을 맡깁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지난 2월 신공항을 건설할 필요성이 있다고 발표했지만, 최종 결론은 신공항 건설이 아닌 김해공항 확장이었습니다.<br /><br />YTN 이강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062117224179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