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최근희 / 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 교수<br /><br />[앵커]<br />3시에 영남권 신공항이 건설이 아닌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방안으로 결정이 됐습니다. 지난 2003년부터 논의가 시작된 이후 13년 동안 우여곡절을 겪어왔는데요. 일단은 마무리가 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최근희 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 교수와 함께 좀더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.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안녕하십니까.<br /><br />[앵커]<br />조금 전에 국토교통부 그리고 ADPi 파리공항공단 엔지니어링이 공식 발표하지 않았습니까. 상당히 1년 동안 고민을 한 흔적이 엿보이기도 했는데 이번 결과 발표에서 가장 중요하게 본 부분이 어디입니까, 교수님은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글쎄요, 발표를 보면 여러 가지 고려를 했어요. 그중에서 제일 중요하게 본 것 중 하나가 아마 경제적인 효율성을 본 게 아닌가, 이런 생각이 듭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경제적 효율성이라고 하면 역시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것이 비용이 가장 적게 들 것이다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그렇습니다. 우리가 전문적으로 쓰는 용어가 비용편익분석이라고 하는데. 기존의 공항을 확장하게 되면 기존의 일부 인프라가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전혀 새로운 곳에 짓는 것보다는 비용을 많이 절감할 수가 있겠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아직 구체적인 확장 계획은 나오지 않았습니다마는 지금 보면 일단 정부가 3200m짜리 활주로를 하나 더 건설을 하고요. 또 터미널도 보강하고 주변의 교통망도 확충한다. 앞서 3시에 발표할 때 보면 약 한 4조 4000억 원 정도가 들 것이다라고 예상을 했는데 이 정도 비용이면 이런 건설을 하는 데 충분한 비용인가요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활주로 하나와 기존 시설을 확장하는 것이기 때문에 애당초 계획했던 것보다 절반 이하의 비용으로 공항을 확장을 할 수 있는, 그런 규모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공항 건설이라는 것이 인프라 구축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고 결과적으로는 수요라는 측면 아니겠습니까. 공항 이용객이 많이 늘어나니까 공항을 건설하기도 하고 넓히기도 하는 건데 말이죠. 3200m짜리 활주로 하나 건설해서 수요를 다 감당할 수 있는 겁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그러니까 저희가 조금 궁금한 것이 아까 발표할 때 보니까 장기적으로 4000만 명까지 늘어난다고 했어요. 지금 활주로가 2개 있는데 590만 명이었단 말이에요, 작년에. 그런데 그게 포화상태다, 3200m짜리 하나 더 건설을 해서 그 늘어나는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062117170515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