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영남권 신공항 입지를 선정하기 위한 용역 결과가 공개됩니다.<br /><br />프랑스 용역업체의 책임자가 직접 평가 기준과 결과를 발표합니다.<br /><br />이어,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이 용역 결과에 대한 정부의 입장과 향후 추진 계획 등을 설명하게 됩니다.<br /><br />그럼, 발표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 /><br />[장 마리 슈발리에 / 연구용역 책임자]<br />안녕하십니까? 여러분.<br /><br />지금부터 신영남지역의 신공항 발표를 위한 신공항과 관련한 사전 타당성 조사를 발표하겠습니다. 슬라이드는 지금 보시는 것처럼 네 부분으로 구성이 돼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지난달 말 서울에서 지역 대표자들과 전문가들이 참석한 자문회의가 개최가 되었습니다. 오늘 말씀드리는 것은 최종 프레젠테이션이 되겠습니다. 그리고 이후에 최종 보고서를 제출하게 되겠습니다.<br /><br />프로젝트 전망을 다시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저희가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기존에 나와 있던 옵션 2개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, 완전 0에서부터 새로 시작하는 단계를 밟았습니다.<br /><br />그렇기 때문에 이 지역 내에 있는 35개 사이트 후보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시작하였습니다. 그 광대한 후보지가 25개의 후보지로 다시 추려졌고요. 이렇게 추려진 기준으로는 첫 번째로 적용된 기준으로는 주요 수요가 발생하는 곳에서부터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 지형이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도시화의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서 추려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지금 슬라이드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이제 25곳의 후보지가 1차로 선정이 되었었고요. 그리고 두 번째로 1단계 검증이 시작이 되었습니다. 1단계 검증 기준으로는 장애물이 너무 많은 지역은 제외가 되었고요. 이 1단계 검증을 거친 결과 8개 후보지로 다시 압축이 되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이 8개의 후보지를 3개의 지리적인, 일종의 한 군으로 모았습니다. 이 세 가지 후보군이 있는 각각 남부의 도서지역, 낙동강 유역 그리고 중부지역, 이렇게 명칭을 붙였습니다. 그리고 이 세 가지 후보군을 대상으로 해서 소음 정도, 비용, 접근성을 기준으로 해서 최종 검증 단계를 거쳐 가장 최적의 곳을 선정하고자 했습니다.<br /><br />그 결과를 거쳐서 3개의 후보지로 저희가 압축을 하였습니다. 그리고 그다음 4단계에 진입해서 후보지 평가를 위한 방법론을 선정하였습니다. 저희가 다기준방법론을 선택을 하였습니다. 경험에 근거해서 이러한 방법론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301_2016062115012071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