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음 달부터 시행하는 정부의 '맞춤형 보육'에 반대하며 일부 어린이집이 집단 휴원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예정된 기간은 이틀인데요. 오늘부터 시작됐습니다. 우려했던 '보육 대란' 있었을까요?<br /><br />경기도 안산의 한 어린이집입니다.<br /><br />원생들로 붐벼야 할 시간이지만 한산하지요? 교실 10개 중 두 개만 운영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어린이집 중 12.5%만 자율 등원 형식으로 참여했다고 밝혔는데요. <br /><br />참여한 곳도 등원하는 아이를 막지 않았기 때문에 '보육 대란'은 다행히 없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반복되는 '휴원 사태'에 학부모들은 분통을 터뜨리고 있습니다. 들어보시지요.<br /><br />[어린이집 학부모 : 불안하고 원망도 되고…. 아이들을 사이에 두고 정부랑 이런 사람들 줄다리기하는 것도 아니고. 피해 보는 건 부모랑 아이들이잖아요.]<br /><br />이처럼 학부모만 중간에서 고생하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쟁점은 무엇일까요? <br /><br />다음 달 시행되는 '맞춤형 보육'을 이해해야 하는데요.<br /><br />이 제도는 부모의 상황에 따라 '종일반'과 '맞춤반'으로 나누는 것이 핵심입니다.<br /><br />'종일반'은 하루 12시간, '맞춤반'은 6시간만 정부에서 지원하는 것인데, 맞벌이 부부는 종일반에 해당하고, 전업주부라면 '맞춤반'에 해당하는 지원만 하겠다는 것입니다. <br /><br />물론 임신이나 다자녀 등 필요에 따라 전업주부도 종일반을 이용할 수는 있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맞춤반의 경우 종일반의 80% 정도만 지원하게 된다는 것인데요.<br /><br />기존에 0세에서 2세는 모두 종일반을 기준으로 정부가 지원했기 때문에 결국 어린이집 입장에선 받는 지원금이 확 줄어드는 셈이라 반발하는 것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에 대해 전업주부는 맞벌이 가정이 아니라고 오히려 역차별을 받는 것이라고 항의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'아이와 부모의 애착 관계 형성'을 위해 중요한 제도이며, 어린이집 운영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부분도 충분한 검토를 해 예산을 편성해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062322031018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