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'나의 퇴근' / YTN (Yes! Top News)

2017-11-14 2 Dailymotion

저녁 8시, 퇴근 후 시원하게 맥주 한 잔 하면서 '저녁이 있는 삶'을 보내고 있던 직장인 양순 씨.<br /><br />그녀에게 갑자기 카톡 알림이 울리기 시작합니다.<br /><br />누군가 봤더니, 직장 상사에게 온 카톡이었습니다.<br /><br />업무 관련해서 급하게 문서를 작성해 메일로 보내달라는 내용의 메시지였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경험들 종종 있으실 텐데요.<br /><br />스마트 기기 때문에 생활이 편리해졌다고만 생각했는데, 이렇게 때로는 편안한 휴식을 방해하는 족쇄가 되기도 하죠.<br /><br />다시, 저녁이 있는 삶을 찾아올 수는 없을까요?<br /><br />한국노동사회연구소가 실시한 설문조사를 보면, 전체 근로자 중 86.1%가 퇴근 후 스마트 기기로 업무 처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근로자가 업무시간 외에 업무 목적으로 스마트기기를 이용하는 시간은 평일 하루 평균 1.44시간이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니까, 86분인데요.<br /><br />또, 근로자들은 휴일에도 스마트폰으로 인한 업무 처리에 시달려야 합니다.<br /><br />휴일에 업무 목적으로 스마트기기를 이용하는 시간은 평일보다 더 길었습니다.<br /><br />평일과 휴일을 합하면, 일주일에 무려 11시간을 추가로 더 일을 한 셈이 되는 겁니다.<br /><br />스마트기기로 처리해야 하는 업무는 다양했습니다.<br /><br />'직장 이메일 연동을 통한 이메일 수신·발신 업무가 가장 많았는데요.<br /><br />그 다음 순으로 '직장 업무 관련 파일 작성과 편집' '메신저와 SNS를 통한 업무처리와 지시' 등이 꼽혔습니다.<br /><br />그렇다면, 이렇게 스마트 기기로 인한 업무가 증가 되면서 우리 생활 중 어느 부분이 가장 줄어들었을까요?<br /><br />수면이 가장 방해받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[최단비 / 변호사 : (예전에는) 스마트폰이 이렇게 상용화되지 않았었어요.그래서 그때에는 퇴근을 했다고 하면 더 이상 이메일을 볼 수 없으니까. 클라이언트들이 저한테 이메일을 보내더라도 저는 면죄부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었던 거죠. 그런데 이제는 스마트폰으로 계속해서 연동이 되기 때문에 이메일을 바로바로 체크하지 않으면 업무에 열의를 다하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가 있다 라는. 참 편리하기는 하지만 족쇄가 된다는 걸 실감하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이런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신경민 의원이 어제 근로기준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습니다.<br /><br />퇴근 후에 문자나 카카오톡으로 업무 지시를 내려서는 안된다는 내용의 개정안이었습니다.<br /><br />신경민 의원이 발의한 개정안의 내용을 자세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062318083243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