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조영무 /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<br /><br />[앵커] <br />영국이 국민투표를 통해유럽연합 탈퇴를 결정하면서 세계 경제이 큰 혼란에 빠졌습니다. <br /><br />[앵커] <br />일부 영국인들은 재투표 추진까지 나서고 있는데요. 혼돈과 충격에 빠진 영국.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과 말씀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앵커] <br />일단 유럽연합에 남을 것이냐, 떠날 것이냐. 국민투표 내용 다시 한 번 정리를 해 보고 그 탈퇴 배경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.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일단 캐머런 영국 총리가 재집권을 하면서 공약으로 내걸었죠. 재집권을 하게 되면 이러한 브렉시트, 유럽연합에 남을 것인가 떠날 것인가를 국민투표에 부치겠다. 공약대로 한 겁니다. <br /><br />일종의 정치적인 도박이었는데요. 결과가 예상과는 상당히 다르게 나온 거죠. 그 원인은 크게는 두 가지로 볼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. 첫 번째는 역사적인 배경인데요. <br /><br />영국은 유럽연합에 가입을 하기는 했지만 전통적으로 볼 때 프랑스라든가 독일과 같이 유럽 대륙 안에 있는 주요국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유럽 통합에 계속적으로 반감을 드러내왔죠. 이것을 분리주의라고 부릅니다.<br /><br />이러한 분리주의 또는 과거 대영제국에 대한 향수가 남아 있는 노년층을 중심으로 해서 이번에 브렉시트 찬성 비율이 상당히 높았던 것으로 보이고요. <br /><br />두 번째로는 경제적인 요인인데 유럽은 유럽연합 안에서 상당히 많은 재정분담금이라고 하는 돈을 내고 있어요. 돈을 많이 내고는 있지만 사실은 별로 그 재미는 많이 못 본 것 같습니다. <br /><br />왜냐하면 영국이 기록한 이러한 경상적자, 무역적자 중에서 약 80% 정도가 유럽 대륙과의 역내 교역에서 발생했다고 하는 점이죠. <br /><br />[앵커] <br />분담금은 30조 원 정도 되는 것으로 추산을 하고 있던데요. 어마어마한 금액인데. 이걸 일단 안 내도 되니까 뭔가 좋아보이기는 하지만 사태 결과는 더 지켜봐야겠죠. <br /><br />[앵커] <br />우리나라와 비슷하게 영국 이번 투표 역시 부동층이 관건이었는데요. 이 부동층을 움직이게 한 결정적인 요인이라면 뭐가 있을까요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사실 투표 직전까지도 여론조사 결과가 엎치락뒤치락했기 때문에 결국은 부동층의 향배가 투표 결과를 가를 것이라고 모두가 전망을 하고 있었습니다. <br /><br />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결국은 이런 부동층의 투표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6062516092747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