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지난해 문을 닫은 강원도의 한 동물원이 폐업과 동시에 반달곰을 비롯한 멸종위기 동물들을 곰 사육장으로 넘겼습니다.<br /><br />황당한 건 곰들이 옮겨진 곳이 다름 아닌 쓸개 수거를 위한 사육장이었습니다.<br /><br />환경 당국은 애물단지가 된 동물들을 넘기기에만 급급했습니다.<br /><br />홍성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철장 밖의 풀잎을 가지고 노는 새끼 곰부터 커다란 몸집의 불곰까지.<br /><br />국제적 멸종위기종이지만 개 사료를 먹으며 굶주림에 고통받던 원주 드림랜드의 동물들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0월 경영난으로 동물원은 폐업했고, 멸종위기종인 반달곰 4마리와 불곰 2마리를 포함해 원숭이와 공작 등 동물 90여 마리가 개인에게 넘겨졌습니다.<br /><br />전시와 관람용으로 동물들을 사용하겠다며 데려간 곳은 쓸개 수거를 위한 경기도의 한 곰 사육장.<br /><br />이 과정에서 불곰 2마리는 죽어 폐기 처분됐고, 나머지 곰들은 또다시 다른 곳으로 옮겨졌습니다.<br /><br />원주 드림랜드의 곰들이 옮겨진 사육장입니다.<br /><br />관리 감독을 해야 할 환경청은 전날 현장 확인을 벌이고도 이곳으로 곰들이 옮겨진 사실을 몰랐습니다.<br /><br />애초에 멸종위기 동물을 쓸개 수거 사육장을 운영하는 개인에게 보낸 것이 문제였습니다.<br /><br />동물들의 인계를 허가한 환경 당국은 사육장 위치가 자신들의 담당이 아니라는 이유로 확인조차 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[원주지방환경청 관계자 : (관리·감독은 누가 해야 하는 건가요?) 지금 관할구역 환경청인 한강유역환경청에서 해야 해요.]<br /><br />애물단지가 된 동물들을 처리하기에 급급했던 겁니다.<br /><br />[김영환 / 동물연대 선임간사 : 동물이 도착할 해당 환경청에 최소한 현장 확인을 해달라는 연계가 되는 유기적인 행정이 필요했는데 전국 7개 환경청은 제가 알기로 전혀 그런 연계 시스템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환경청은 멸종위기종을 보호한다며 매년 수백억 원 예산을 쏟아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동물원을 나와 쓸개 수거 사육장으로 넘겨지는 곰들은 끝내 외면했습니다.<br /><br />YTN 홍성욱[hsw0504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6070403120971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