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정전협정 63년...종군기자의 증언은? / YTN (Yes! Top News)

2017-11-14 2 Dailymotion

■ 한영섭 / 6·25 종군기자 동우회장<br /><br />[앵커] <br />7월 27일, 오늘은 6.25 전쟁 정전협정이 체결된 정전협정기념일입니다. 63년 전 이날 전쟁은 중단이 됐지만 남북의 대치 상황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오늘은 한국 최초 종군기자로 6.25 전쟁을 처음부터 끝까지 취재, 보도한 한영섭 6.25 종군기자 동우회장을 모시고 당시의 참상을 들어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. 오늘이 바로 정전협정기념일 바로 그 날입니다. 정전협정 서명식, 그때도 취재를 하셨다고요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네. 7월 27일이죠, 1953년. 그때 정전회담이 그동안에 한 500회 열렸었어요. 500회 열렸는데 그게 최종적으로 타결이 돼서 판문점 회담장에서 양측 대표들이 조인을 했죠. 그런데 조인 현장에는 모두 다 잘 아시겠지만 우리나라는 전쟁을 하면서도 교전당사국이 아니었어요. 그래서 그당시에 이승만 대통령을 비롯해서 전국민들이 휴전을 반대를 하고 그랬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배제가 된 거죠, 한국 대표가.<br /><br />[앵커] <br />우리가 정전협정의 당사자는 아니었죠.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그렇죠. 그래서 조인 현장에는 한국 기자도 2명밖에 못 들어가고 주로 사진기자가 들어가고 저는 회담장 밖에 유리창너머로... 말을 해야 하니까, 마이크에다 대고 말을 해야 되니까 녹음을 합니다마는 회담 조인장에서는 얘기를 할 수가 없으니까 그래서 유리창너머로 보면서 얘기를 하고 그렇게 조인을 했죠. <br /><br />그런데 조인을 하는데 양쪽 대표가 UN측에서는 헤리슨 중장 그리고 북쪽에는 남일이 나와서 했는데. 출입구가 각각 달라요. 각각 다른 출입구로 들어와서 눈 한번도 마주치지 않고 반대쪽 책상에서 조인을 하고 그랬죠. 그러고서 조인 끝나고 나서도 쳐다만 보고 그냥 나가고 그랬죠. <br /><br />그런데 최종 조인은 UN군 사령관이 해야 되고 저쪽은 김일성이 해야 되는데 UN군 사령관은 한 3시간 후에 문산에. 판문점에서 문산이 가까우니까 문산의 한 극장에서 최종 조인을 했어요. 그때는 UN 종군기자 포함해서 100여 명의 기자들이 조인장에 들어가서 사진도 찍고 기자회견도 하고 그랬죠. 그게 최종적으로 조인을 하는 거였죠.<br /><br />[앵커]<br />그 현장을 직접 보셨는데요. 그런데 6.25 전쟁이 발발했었던 그 당시의 상황도 처음으로 뉴스를 전하셨다고요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네. 25일 새벽이었어요. 방송국에서 긴급히 전화가 와서 빨리 좀 나오라고. 집에서, 그때 방송국은 정동에 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60727152439718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