네덜란드의 한 디자인 회사입니다.<br /><br />오후 6시, 갑자기 책상이 공중으로 떠오르더니 완전히 천장 위로 사라집니다.<br /><br />이렇게 빈 공간이 생기자 직원들이 삼삼오오 모여 요가를 하는 진풍경이 펼쳐지는데요.<br /><br />요가 후에는 다른 업무 없이 집으로 퇴근을 한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오후 6시만 되면 위로 사라지는 책상 덕분에 이곳 회사 직원들은 매일 '야근 없는 삶'을 누린다고 합니다.<br /><br />그렇다면, 우리나라의 퇴근문화는 어떨까요.<br /><br />한 취업 포털 사이트가 남녀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야근 빈도를 조사했는데요, 직장인들의 야근 횟수는 일주일 평균 2번에서 3번으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근무일 5일 기준으로 따지면 일주일의 절반 정도를 야근하는 겁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, 우리나라 기업들도 정시퇴근을 위한 노력이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아시아나 그룹은 지난 4월부터 매주 금요일을 '패밀리 데이'로 지정해 정시퇴근을 독려하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금요일 오후 5시만 되면 회사 스피커에서는 퇴근송과 함께 빨리 집에 가라는 '귀가 방송'이 시작됩니다.<br /><br />[아시아나항공 본사 사내방송 중 : 뻥이야 뻥이야 입만 열면 뻥이야 집에 가지 않는다는 것은 전부 뻥입니다.]<br /><br />이렇게 업무에 열중하던 직원도 이 방송만 나오면 저절로 짐을 쌀수 밖에 없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특히, 지방 사투리 엉터리 일본어 등의 독특한 귀가 방송은 직원들의 뜨거운 성원을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아시아나항공 본사 사내방송 중 : 집에가자~ 7월 첫째주 퇴근 방송 전라도 디제이와 함께 하는 퇴근 방송입니다. 여러분의 지친 발걸음이 쉴 수 있도록 집에 가시길 바라겠습니다잉.]<br /><br />듣기만 해도 퇴근이 절로 하고 싶어지죠.<br /><br />아시아나항공은 경영난으로 올 초부터 지점 통폐합과 적자 노선 폐지, 희망퇴직 같은 절차를 밟아 왔습니다.<br /><br />이 와중에 정시퇴근을 독려하는 것은 근무기강을 다잡는 대신에 직원의 기를 살리는 '역발상' 시도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시퇴근을 독려하는 기업은 또 있습니다.<br /><br />현대차 그룹은 매주 수요일을 '스마트데이'로 정해 놓았습니다.<br /><br />오후 5시 30분에 정시 퇴근하는 방침을 정해 놓고, 실질적인 적용을 위해 저녁 식사 미실시, 통근 버스 시간대 변경, 컴퓨터 강제 종료 등 다양한 실천 방안을 마련했습니다.<br /><br />삼성그룹 또한 매월 21일 월급날이면 생산라인을 제외한 부서는 무조건 정시 퇴근을 해야 합니다.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081218045756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