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여러분 혹시 광복절 연휴 기간에도 출근하셨습니까?<br /><br />정규 근무 시간도 모자라서 시간 외 근무에다 주말까지 나와서 일하는 한국 근로자들은 OECD 국가 중에서도 멕시코 다음으로 가장 장시간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그렇다면 임금은 제대로 받고 있을까요?<br /><br />염혜원 기자가 따져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우리나라 취업자는 평균 2천 113시간을 일했습니다.<br /><br />OECD 회원국 가운데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.<br /><br />노동시간 1등은 멕시코였는데요.<br /><br />2천 246시간을 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반대로 일한 시간이 가장 적은 나라는 바로 독일입니다.<br /><br />1년에 천 371시간을 근무하는데, 하루 8시간 근무한다고 치고 우리나라와 비교하면 1년에 4.2개월 더 쉬는 겁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처럼 장시간 근로로 악명이 높았던 일본은 요즘 어떨까요?<br /><br />지난해 천 719시간으로 우리보다 1년에 2달 정도 근무시간이 짧았습니다.<br /><br />물가를 반영한 구매력 기준 연봉이 우리나라는 3만 3천 달러 정도였습니다.<br /><br />우리보다 넉 달 덜 일하는 독일은 어떨까요?<br /><br />4만 4천 달러로 만 달러 이상 많았습니다.<br /><br />우리보다 두 달 더 쉬는 일본은 높은 물가를 반영해도 구매력 기준 연봉이 2천 달러 이상 많았습니다.<br /><br />노동시간이 가장 길었던 멕시코는 시간당 임금, 연간 임금 모두 최하위를 기록했고 룩셈부르크는 근무시간은 OECD 회원국 가운데 6번째로 적었지만, 임금은 가장 높았습니다.<br /><br />올해 초 한국 경영자총협회 박병원 회장의 발언이 논란이 됐습니다.<br /><br />"근로자들이 수당을 받기 위해 연장근로를 선택하고 있다" 그리고 이런 "장시간 근로가 청년들이 취업할 기회를 뺏고 있다"고 얘기한 건데요.<br /><br />"근로자 스스로 고용을 늘리고 또 삶의 질을 추구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"고도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누리꾼들은 야근 안 해서 일이 밀리면 잘리고, 휴가 내면 눈치 보인다며 이것이 한국 경영자들의 입장이냐고 분노했습니다.<br /><br />올해 최저임금도 받지 못하는 근로자 수가 280만 명, 내년에는 더 늘어서 313만 명에 달할 거라고 합니다.<br /><br />근로자 6명 가운데 1명이 여기에 해당합니다.<br /><br />선진국 클럽에서 근로 시간은 8년째 2등을 하면서도 연봉은 22등.<br /><br />그런데도 시간외 수당 욕심에, 삶의 질까지 스스로 떨어트리는 존재라는 지적까지 받으니 직장인들의 어깨가 오늘도 무겁습니다.<br /><br />YTN 염혜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081619534264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