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'편파 판정'으로 세계 레슬링연맹이 눈총을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사실 레슬링은 지난 2013년 한차례 올림픽 퇴출 위기에 처했는데요.<br /><br />오심과 잦은 판정 시비 때문이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세계레슬링연맹은 회장을 교체하고 공정한 판정을 약속했지만, 또 이런 일이 반복됐습니다.<br /><br />세계 레슬링 연맹은 러시아인 부회장이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, 러시아 임원들이 실권을 잡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그들의 입맛에 맞춰, 국제대회의 심판을 배정하고 있다는 의심을 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실제 이번 리우 올림픽의 심판 배정만 봐도 그렇습니다.<br /><br />40명 가운데 25명이 러시아를 포함한 구소련 출신인데요.<br /><br />뭔가 찔려서일까요? 레슬링은 다른 종목들과 다르게 심판의 신상을 최대한 감추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기 공식 기록지에도 주심과 부심의 이름이 아니라, 심판에게 부여하는 번호로 표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사전에 심판 리스트를 알지 못하면 이 심판이 어느 나라 출신인지 가늠할 길이 없는 겁니다.<br /><br />김현우 선수의 눈물을 보고 있자니, 2년 전 소치 동계올림픽이 떠오르시지 않으셨나요?<br /><br />당시 피겨 요정 김연아 선수는 흠 잡을 데 없는 완벽한 연기를 펼치고도 박한 점수를 받았지만, 러시아 소트니코바는 실수를 하고도 아주 후한 점수로 금메달 차지했죠.<br /><br />당시 소트니코바에게 후한 점수를 준 심판 가운데 한 명은 러시아 피겨 연맹 부회장의 부인이었습니다.<br /><br />소트니코바 선수가 금메달을 확정 짓자, 두 사람은 포옹을 나누기도 해 의심의 눈초리는 더 커졌죠.<br /><br />국제 대회마다 반복되는 판정 시비 공교롭게도 러시아와 연관된 경우가 많았는데요.<br /><br />공정과 원칙 중시가 올림픽 정신 아니겠습니까?<br /><br />더 이상 석연치 않은 판정으로 눈물을 훔치는 스포츠 스타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. <br /><br />[사진제공 : 뉴스1]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7_2016081609135815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