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음식을 꾸미는 고명처럼 예쁜 딸, '고명딸' / YTN (Yes! Top News)

2017-11-15 1 Dailymotion

[조윤경] <br />고종의 늦둥이 막내딸로 태어난 덕혜옹주. <br /><br />고종은 덕수궁 준명당에 유치원을 만들 정도로 고명딸에 대한 사랑이 남달랐다고 하죠. <br /><br />하지만 일본으로 끌려가 정략결혼을 한 후 한 많은 인생을 살았는데요. <br /><br />그녀의 삶이 영화로 만들어지면서 다시 한 번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[정재환] <br />다섯 살 난 딸을 위해 유치원까지 만들다니 고명딸을 아끼는 아버지의 마음이 느껴지네요. <br /><br />[조윤경] <br />그런데 여기서 쓰는 '고명딸', 혹시 어디서 나온 말인지 알고 계시나요? <br /><br />[정재환] <br />글쎄요. 설날에 떡국에 먹을 때도 고명을 얹었잖아요? <br /><br />혹시 거기서 나온 말 아닐까요?<br /><br />[조윤경] <br />딩동댕~ 맞습니다! <br /><br />[정재환] <br />아 그래요? 맞혔네요. 제가~ 하하<br /><br />[조윤경] <br />이 '고명'은 음식의 맛과 모양을 좋게 하기 위해 음식 위에 얹거나 뿌리는 것을 통틀어 이르는 순 우리말입니다. <br /><br />[정재환] <br />왜 음식에서 사람을 뜻하는 말이 나왔을까요?<br /><br />[조윤경] <br />'고명'은 음식의 모양을 돋보이게 하고 맛을 더하기 위해 쓰는데요. 이 '고명'처럼 아들만 있는 집에 돋보이는 예쁜 딸이라는 의미로 확대된 것이죠. <br /><br />전남·평안지역에서는 '고명딸'을 '양념딸'로 부르기도 합니다.<br /><br />[정재환] <br />언제부터 쓰던 말인가요?<br /><br />[조윤경] <br />'고명딸'은 이른 시기의 문헌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20세기 소설이나 사전에서 확인됩니다.<br /><br />고명과 딸이 조합된 단어 형태는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<br />[정재환] <br />오늘 배운 재미있는 낱말! '고명딸'입니다. <br /><br />[조윤경] <br />아들 많은 집의 외딸이라는 뜻인데요. <br /><br />음식을 만들 때 주재료 위에 얹어 예쁘게 장식하는 '고명'에 '딸'을 붙인 것에서 유래됐습니다. <br /><br />[정재환] <br />남존여비 사상이 있었던 예전에는 '고명딸'이라는 표현이 아들 많은 집에 딸 하나는 있어야 한다, '구색을 갖추다'라는 뜻으로 쓰여서 좀 씁쓸했는데요. <br /><br />[조윤경] <br />요즘은 '딸 바보'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고명처럼 귀하고 예쁜 딸이라는 의미가 더 강합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85_2016082205591229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