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담배를 피우거나 불을 지필 때 사용하던 성냥을 아십니까?<br /><br />라이터 때문에 지금은 거의 사라졌지만 우리나라 성냥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이색 전시회가 열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종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성냥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조선 시대 '인광노'입니다.<br /><br />내부에 유황을 발랐는데 부싯돌로 일으킨 불을 이곳으로 옮겨 불을 지필 때 사용했습니다.<br /><br />나뭇개비에 유황을 묻힌 성냥은 188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 들어왔습니다.<br /><br />주로 실학자들을 통해 전래됐는데 일본에서 온 것이 대부분이었습니다.<br /><br />[조우성 / 인천 시립박물관장 : 성냥은 매우 혁명적인 발화 수단이었죠. 그것이 점점 일반화돼서 우리의 삶 속에 녹아들게 된 것입니다.]<br /><br />생활사에도 큰 변화를 가져온 성냥은 1910년대 들어 전국으로 확산됩니다.<br /><br />인천을 시작으로 군산, 수원, 부산 등지에서 다양한 상표의 성냥이 생산됩니다.<br /><br />근대 초기 성냥인 조선, 쌍원표 성냥이 이 시대에 등장합니다.<br /><br />이후 성냥은 모양과 기능면에서 급속도로 발전합니다.<br /><br />[김동순 / 인천시 학익동 : 불과 몇십 년 전만 하더라도 항상 손에 닿던 곳에 있던 성냥인데 잊혔던 것을 다시 보니 너무 새롭고 좋습니다.]<br /><br />그러나 한국 전쟁 직후 미군용 지포 라이터가 들어오면서 성냥 산업은 사양길을 걷기 시작합니다.<br /><br />여기에다 1980년대 생산되기 시작한 신식 가스라이터 '불티나'는 성냥 가는 길을 재촉합니다.<br /><br />근대 문화의 불을 밝힌 성냥은 다른 발명품이 그랬듯이 보다 편리한 것에 밀려 역사의 한 페이지로 사라졌습니다.<br /><br />YTN 김종술[kjs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091402585120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