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성과연봉제 도입을 막기 위해 노동계가 연쇄 파업에 돌입하며 공세 수위를 높이자 정부가 엄정 대응 방침을 거듭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노동계와 정부의 '강 대 강' 대치로 파업이 장기화하면 경제적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란 우려가 고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보도에 이승윤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상암월드컵경기장에 운집한 천 명의 노동자들, 총파업에 돌입한 서울도시철도공사 노조원들입니다.<br /><br />이들은 공공서비스를 돈벌이 경쟁으로 전락시켜 일터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며 성과연봉제 저지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[홍재승 / 서울도시철도공사 노조 기획국장 : 성과연봉제는 동료의 임금을 약탈하고, 부당한 지시에 복종하게 하며, 나와 내 동료를 해고시키기 때문이다.]<br /><br />이번 총파업에 정부는 책임을 분명히 묻겠다면서 엄정 대응 방침을 다시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[고용선 / 고용노동부 차관 : 정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불법 파업 등 위법 행위에 대해서는 엄정하게 조치하겠습니다. 특히 철도노조의 불법 파업 강행 등 위법 행위에 대해서는 반드시 책임을 지도록 할 것입니다.]<br /><br />민주노총의 연대 파업은 각 부문별로 줄줄이 예고됐습니다.<br /><br />보건의료노조와 금속노조 노동자에 이어 29일에는 공공운수노조 상경 투쟁이, 그리고 30일에는 전국 총파업 연대투쟁이 예정돼 있습니다.<br /><br />다음 달 1일에는 범국민대회, 그리고 6일에는 전국 파업 결의 대회가 열립니다.<br /><br />한국노총도 29일 공공연맹 산하 만 명이 총파업에 돌입합니다.<br /><br />성과연봉제 도입을 놓고 노동계와 정부의 '강 대 강' 대치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 경제적 타격도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노동계의 성과연봉제 반대가 워낙 거세다 보니 정부는 파업이 언제까지 지속할지 가늠하기 어렵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고용노동부는 일단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강조하며 사태 장기화에 대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민주노총이 정부 대응을 지켜보고 향후 세부 계획을 결정하는 다음 달 10일이 이번 총파업 사태의 1차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YTN 이승윤[risungyo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092806023738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