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근로자 사이에도 '금수저· 흙수저' 차이 크다 / YTN (Yes! Top News)

2017-11-15 0 Dailymotion

부모의 재력에 따라 자녀의 사회적 계급이 나누어진다는 이른바 '금수저·흙수저론'이 유행어를 넘어 이제 현실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느낌입니다.<br /><br />요즘 청년층을 중심으로 극심한 취업난이 계속되고 있습니다만, 근로자들 간에도 금수저·흙수저 현상이 나타나 근로조건과 임금수준에서 크게 차이가 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국회입법조사처 김준 환경노동팀장이 통계청의 '2015년 3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'를 분석한 결과인데요.<br /><br />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이른바 '좋은 일자리'와 그렇지 않은 일자리를 나누는 기준은 3가지입니다.<br /><br />첫째 기업 규모, 둘째 정규직 여부, 셋째 노동조합 유무인데요.<br /><br />우리나라 300인 이상 대기업의 비율은 12.2%, 정규직 비율은 68%, 노조가 있는 사업장의 근로자 비율은 25.4%입니다.<br /><br />이 세 가지 조건을 모두 갖춘 근로자, 그러니까 노조가 있는 대기업에 다니는 정규직 근로자는 전체 임금 근로자의 7.6%에 불과한 143만 명입니다.<br /><br />반면 이 세 가지 가운데 어느 한 군데도 포함되지 않는, 즉 노조가 없는 중소기업에 다니는 비정규직 근로자는 26%로 489만 명이었습니다.<br /><br />흙수저가 금수저 숫자보다 3배 이상 많지만 이 두 집단의 근로조건은 완전히 역전됩니다.<br /><br />월평균 임금은 이른바 금수저 근로자는 417만 원, 흙수저 근로자는 139만 원으로 3배 차이였습니다.<br /><br />근속년수는 금수저는 13.4년이고 흙수저의 경우 2.3년에 불과해 격차는 6배로 더 커졌습니다.<br /><br />이 밖에도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가입, 퇴직금과 상여금 적용 등에 있어서도 큰 차이를 보였는데요.<br /><br />많은 청년들이 졸업과 취업을 미루면서 공무원과 공공기관, 대기업 입사시험 준비에 매달리는 이유가 이 같은 현격한 차이 때문이라고 연구를 진행한 김준 팀장은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90_2016092617461420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