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우리나라 주요 기업에 투자한 외국인의 시가총액이 300조 원에 육박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우리 기업에 투자한 외국인 지분이 높아지면서 그만큼 주주로서 요구하는 내용도 많아져 기업 경영이 투명해진다는 장점도 있지만, 이들의 영향력이 커진다는 우려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보도에 김현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미국의 헤지펀드 엘리엇.<br /><br />삼성전자 주식 0.62%를 소유한 엘리엇은 지난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을 반대하며 법정 다툼까지 벌였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에는 삼성전자의 분사와 특별 배당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국내 기업에 투자한 외국인들의 지분이 늘면서 그만큼 영향력 행사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7일 종가 기준 10대 그룹 소속 89개 상장사의 시가총액은 모두 738조 6천억 원.<br /><br />이 가운데 외국인 투자자는 40%에 가까운 292조 원이나 됩니다.<br /><br />사상 최대입니다.<br /><br />10대 그룹 가운데는 삼성 계열사 시가총액 규모가 166조 원으로 가장 많습니다.<br /><br />삼성그룹은 상장사 시가총액에서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도 43.5%로 가장 높습니다.<br /><br />현대차가 41.7%, SK 39.1%, LG 34.5% 순으로 외국인 시가총액 규모가 큽니다.<br /><br />외국인 지분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국내 기업의 경영 투명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<br /><br />[정선섭 / 재벌닷컴 대표 : 외국인들의 지분이 높아지고, 투자규모가 커지면 재무적으로나 지분에서의 영향이 커지기 때문에 기업들의 폐쇄경영보다는 오픈 경영의 가능성이 높고요….]<br /><br />하지만 주요 경영 현안에 대해 지분율을 높인 외국인 투자자의 목소리가 커지게 되면서 국내 기업이 외국인의 영향권에 놓이게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김현우[hmwy12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1009130911325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