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노무현정부 당시 유엔 대북인권결의안 채택을 앞두고 우리 정부가 북한의 입장을 물어봤다는 이른바 '송민순 회고록'을 둘러싼 논란이 정치권을 강타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당시 회의에 참석했던 일부 핵심 인사들이 회고록의 내용이 사실이 아니라는 의견을 밝히면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구수본 기자가 이들의 발언을 차례로 비교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논란은 지난 2007년 11월 노무현정부 말기 한국이 유엔 대북 인권결의안에 기권한 경위를 둘러싼 것으로, 기권 결정 이전에 북한의 의견을 물었는지 여부가 쟁점입니다.<br /><br />회고록을 쓴 송민순 전 외교부 장관은 청와대 회의에서 김만복 전 국정원장의 제안에 따라 문재인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이 최종 결정 전에 북한 의견을 확인해 보기로 했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이던 문재인 전 대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기권을 결정했다고만 말할 뿐, 북한의 의견을 사전에 물어봤는지에 대해서는 침묵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대변인 격인 김경수 의원은 문 전 대표가 당시 북한 입장을 물어볼 사안이 아니라며 의혹을 부인했습니다.<br /><br />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도 자신은 기권 입장을 밝혔지만, 북한의 입장을 물어볼 이유가 하나도 없다고 주장했고, 김만복 전 국정원장도 청와대 회의에서 기권 의견을 냈으며, 자신이 북한에 물어보자고 제안한 바 없다며 송 전 장관의 회고록 내용을 부인했습니다.<br /><br />백종천 전 안보실장 역시 북한에 사전에 물어보지 않았고, 우리 정부의 기권이 최종 결정된 뒤 유엔의 결정이 있기 전 북한에 통보하기로 했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당시 국방부 장관이었던 김장수 주중 대사는 인권결의안에 찬성했던 기억이 난다면서 다만 북한 입장을 사전에 물어보자는 얘기는 기억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.<br /><br />정리해보면 송민순 전 장관의 말과는 달리 김만복, 백종천, 이재정 세 사람은 기권을 앞두고 북한의 입장을 사전에 물어보지 않았다고 주장해 진실공방으로 치닫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또 이 과정에서 문재인 전 대표가 어떤 결정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YTN 구수본[soob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6101711003331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