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청와대가 대통령의 대국민사과에 이어 인적 개편을 포함한 후속 조치 논의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국정 운영에 차질이 생기는 무책임한 인적 개편은 피해야겠지만 일정 규모의 내각과 참모진 교체는 불가피하다는 여론이 많습니다.<br /><br />박순표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여당의 대대적인 쇄신 요구에 박 대통령이 심사숙고하고 있다는 것이 이정현 대표가 전한 청와대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국정 운영의 차질을 피하면서 인적 개편 등 후속 조치를 고민하고 있다는 뜻입니다.<br /><br />일단 이원종 비서실장을 포함한 수석비서관 전원이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뜻을 모은 상태입니다.<br /><br />[이원종 / 대통령 비서실장 : 취임 첫날부터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생각은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. 지금도 많은 고심을 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.]<br /><br />문제는 인적 개편의 시기와 폭입니다.<br /><br />원론적으로 보면 검찰 수사 결과와 국회 상황, 여론의 흐름을 지켜보면서 국정의 연속성과 책임 소재를 고려해 교체 시기와 대상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시간이 없습니다.<br /><br />여당까지 인적 개편을 요구한 상황에서 시간을 끌다 자칫하면 국정 운영 동력을 완전히 상실할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때문에 논란의 중심에 섰던 우병우 민정수석이 대통령 측근 관리 실패의 책임을 사퇴하는 등 일부 참모진 개편이 선행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.<br /><br />[이원종 / 대통령 비서실장 : 우병우 민정수석 즉각 경질해야 하지 않겠습니까? 같이 고심해보겠습니다.]<br /><br />개헌 논의 상황도 인적 개편의 시기와 폭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국정의 연속성이 중단되는 참모진 일괄 사퇴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 현재의 여권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대통령 탈당 요구 또한 당장은 책임 정치라는 측면에서 옳지 않고 국민 여론과도 동떨어진다고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결국 국정 운영의 차질이 없는 범위에서 국민 여론을 겸허히 수용한다는 원칙 아래 청와대를 포함한 여권의 향후 대응 방향이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YTN 박순표[spar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6102714314135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