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이승윤 / 사회부 기자<br /><br />[앵커]<br />사회부 이승윤 기자와 함께 좀더 자세한 내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<br /><br />[기자] <br />안녕하십니까. <br /><br />[앵커] <br />네 번째 촛불집회가 마무리가 됐는데 말이죠. 전국적으로 96만 명 정도가 모인 것으로 집계가 되고 있죠, 주최 측 추산입니다마는. <br /><br />[기자] <br />정확히 말씀드리면 96만 3000명이 집회 측 추산이고요. 주최 측 추산이고 경찰 추산으로는 27만 2000명입니다. <br /><br />[앵커] <br />전국이죠? <br /><br />[기자] <br />네, 전국 기준입니다. 주최 측 추산으로 , 원래 주최측 추산보다 10만 명이 많은 60만 명이 운집했습니다. <br /><br />경찰에서는 원래 서울에서 8만 명이 참가할 것으로 내다봤는데 경찰 추산으로도 예상을 훌쩍 넘은 18만 명이 넘는 시민들이 결국 운집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. <br /><br />지방 추산을 한번 살펴 보면 주최 측 추산으로는 100여 곳에서 약 36만 3000명입니다. 경찰 추산으로는 70곳에서 9만 2000명이 모였습니다. <br /><br />주최 측은 전국 참가자 규모가 96만 3000명으로 집계가 됐지만 아직 집계에서 빠진 곳들 있는 만큼 사실상 100만 명 이상이 운집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<br />[앵커] <br />이번 집회, 평화적으로 마무리되기는 했습니다마는 행진 때 잠시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했다고요? <br />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저녁 7시 40분쯤이었는데요. 지난 3차 촛불 집회 때 일부 참가자들과 경찰 간에 충돌이 빚어졌던 서울 내자동 네거리에서 저녁 7시 40분쯤 많은 인파가 한꺼번에 몰려들었습니다. <br /><br />그러면서 경찰통제선이 살짝 뒤로 밀려났습니다. 하지만 이내 질서를 되찾아서 촛불집회는 계속 평화적으로 이루어졌고 지금은 참가자들이 대부분 집으로 돌아가서 차량통행이 재개된 상태입니다. <br /><br />앞서 법원은 해질 무렵인 오후 5시 반까지 청와대에서 불과 400m 떨어진 곳에서 정부청사 창성동 별관까지의 행진과 삼청로를 따라 올라가서 재동초등학교와 안국역까지 이어지는 구간의 행진을 처음으로 허용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 <br />3차 때는 서울에서만 100만 명이 모였고요. 이번에는 전국적으로 100만 명이 모인 게 특징이라고 할 수가 있겠죠? <br />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말씀하신 것처럼 지난 12일에 열렸던 3차 촛불집회는 주최 측 추산으로는 100만 명, 경찰 추산으로는 26만 명이었습니다. 2000년대 들어서 최대 규모였습니다. <br /><br />지난 5일 살펴보면 2차 촛불집회 때는 주최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1120010027290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