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54년 만에 이룬 미국과 쿠바의 국교정상화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 최대 업적으로 기록되고 있죠.<br /><br />하지만 피델 카스트로의 타계와 트럼프 정부의 출범으로 양국관계가 다시 얼어붙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김희준 특파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자는 대선 기간 오바마 행정부가 추진한 쿠바와의 국교정상화가 카스트로 정권에만 이익이 된다며 비판해 왔습니다.<br /><br />종교의 자유와 정치범 석방 등을 이행하지 않으면 양국 관계를 되돌리겠다고 공언했습니다.<br />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 대통령 당선자 (지난 9월 플로리다 주 유세) : 대통령은 미국과 쿠바의 관계를 되돌릴 수 있습니다. 저는 카스트로 정권이 우리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으면 그렇게 할 것입니다. 그 요구란 쿠바 주민의 종교와 정치적 자유 등을 말합니다.]<br /><br />트럼프는 카스트로 타계 뒤 성명에서도 그를 야만적인 독재자였다고 비난했습니다.<br /><br />그가 남긴 유산은 총살형과 고통, 가난뿐이었다며 쿠바의 변화를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트럼프 정부에서 미국과 쿠바와의 관계 정상화가 후퇴하거나 양국 간에 갈등이 빚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쿠바계 출신인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트럼프 정부의 정책 1순위가 카스트로 정권에 양보한 것을 철회하는 것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[마르코 루비오 / 공화당 상원의원 : 트럼프는 오바마 대통령이 쿠바에 취한 조치가 잘못됐다는 것을 분명히 했습니다. 따라서 재검토 뒤 필요한 부분들을 변경할 것입니다.]<br /><br />트럼프 측은 종교의 자유 등 쿠바의 변화가 양국 관계 개선의 전제 조건임을 분명히 하고 나서 경제제재 해제 등에도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YTN 김희준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6112806150501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