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가습기 살균제 사태 이후 생활화학제품의 안전성에 대해 국민 불안이 커지자 정부가 부처 합동으로 대책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현재 유통 중인 모든 생활화학제품을 조사해 해로운 제품은 즉각 퇴출하고 제품 관리 사각지대도 없애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보도에 이승윤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폐 조직을 굳게 만드는 '폐 섬유화' 등을 유발해 수많은 인명피해를 불렀던 가습기 살균제 사태.<br /><br />생활화학제품 관리가 부처별로 쪼개진 데다 새로운 화학물질에 대한 관리 사각지대가 존재해 참사를 불렀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.<br /><br />이에 정부는 부처 합동으로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대책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우선, 시장에 유통 중인 모든 생활화학제품을 내년 6월까지 일제히 조사해 위해도가 높은 제품은 즉각 퇴출하고 정보를 공개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습기제거제, 부동액, 워셔액, 양초 등 소비자에게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제품들은 모두 조사 대상입니다.<br /><br />화학제품 관리 체계도 개편해 치약이나 샴푸 등 인체와 식품에 적용되는 제품은 식약처, 소독제와 방부제 등 유해생물 제거 제품은 환경부가 맡도록 했습니다.<br /><br />[이정섭 / 환경부 차관 : 이에 따라 그간 법적 관리를 받지 않던 휴대용 산소캔이라든가 제모왁스 등은 식약처가, 그리고 비누방울액, 칫솔살균제 등은 환경부가 관리하게 되며….]<br /><br />특히 살균제 등 유해생물을 제거하는 제품에는 반드시 승인받은 물질만 사용해야 하며, 무독성, 친환경 같은 광고 문구 사용이 금지됩니다.<br /><br />정부가 관리하는 고위험물질도 현행 72종에서 EU 수준인 1,300종으로 대폭 확대됐습니다.<br /><br />이와 함께 유해화학물질은 함량과 관계없이 성분명 등 정보를 제품 포장에 표시하도록 관련 고시를 다음 달까지 개정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YTN 이승윤[risungyo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112915590821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