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우리나라 인구는 현재 추세라면 오는 2031년에 정점을 찍은 뒤 2032년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합니다.<br /><br />그러나, 취업난에다 소득 양극화로 결혼과 출산을 피하는 젊은이가 늘어 앞으로 출산율이 더 떨어지면 100년 뒤에는 인구가 1,500만 명으로 쪼그라들 거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이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여성이 평생 낳은 아이 수를 나타내는 합계 출산율은 현재 1.24명입니다.<br /><br />이대로 가면 언젠가는 한국인이 사라지는 심각한 저출산 현상입니다.<br /><br />이런 추세라면 오는 2031년 5,296만 명을 정점으로 인구는 줄게 됩니다.<br /><br />2065년에는 4,300만 명 수준, 100년 뒤에는 2,500만 명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그나마 이런 계산에는 출산율이 3, 40대 여성 출산 증가 영향으로 앞으로 조금이나마 오른다는 전제가 깔려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삶이 팍팍해 결혼과 출산을 피하는 젊은이가 갈수록 많아지면서 올해 출생아 수와 결혼 건수는 역대 최저입니다.<br /><br />출산율이 감소할 거라는 전제로 인구 변화를 계산한 최악의 시나리오입니다.<br /><br />8년 뒤부터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해 2065년에는 인구가 1970년대 수준인 3,600만 명 대로 돌아갑니다.<br /><br />통일 가능성, 경제 여건의 변화 등 변수가 많지만 100년 뒤에는 대한민국 인구가 불과 1,500만 수준으로 쪼그라듭니다.<br /><br />[김천구 /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: 출산율이 최근 낮아진 주요 원인에는 과도한 교육비와 주거비가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. 주거비·교육비를 낮추는 노력을 통해 출산율을 높여야 합니다.]<br /><br />정부가 지난 10년 동안 저출산 대책에 80조 원을 쏟아부었지만, 우리나라 출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, OECD 국가 중 여전히 최하위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이준영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120817462816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