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세계 투 톱이라고 하는 미국과 중국의 관계가 앞으로 심상치 않아 보입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차기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노골적으로 중국과의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데요, 마무리돼가던 '드론 문제'에도 다시 불을 지폈습니다.<br /><br />LA 김기봉 특파원이 전해왔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중국의 미국 드론 압수를 '도둑질'이라고 공격했던 트럼프 당선자.<br /><br />여기서 그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정부의 드론 반환 요구에 중국도 동의했는데, 트럼프 당선자는 필요 없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"우리는 그들이 훔친 드론을 돌려받기를 원치 않는다. 그냥 가져라" 라고 트위터에 올렸습니다.<br /><br />완곡한 표현의 외교적 어투는 찾아볼 수 없고, 무시와 경멸의 뉘앙스를 여과 없이 쏟아냈습니다.<br /><br />일부 공화당 인사도 거들었습니다.<br /><br />[존 매케인 / 美 공화당 상원의원 : 이번 경우는 미국의 힘이 없다는 걸 알고 중국이 국제법을 위반하면서 그들의 힘을 과시한 거라고 봅니다.]<br /><br />트럼프의 반중국 행보로 긴장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타이완 총통과의 돌발 전화로 '하나의 중국' 원칙에 펀치를 날린 뒤, 무역과 환율 문제를 거론하며 중국을 거의 범죄국가 취급하는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중국 또한 트럼프의 푸대접과 무시를 그냥 당하고만 있지는 않을 태세인데, 이번 드론 사건도 일종의 시위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[중국 국영 CCTV 뉴스 논평 : 이번 드론 건은 중국과 미국 양국이 대화로 풀고 있는데, 그 과정에서 미국이 일방적이고 공개적으로 과장하는 모습을 보인 것은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할 뿐 아니라 심히 유감스럽습니다.]<br /><br />취임도 하기 전에 날카로워진 미중 관계.<br /><br />외교 경험이 없는 트럼프 당선자의 한계라는 우려와 함께, 고도의 전략일지도 모른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LA에서 YTN 김기봉[kgb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61219071857972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