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최후의 안전지대' 동물복지농장도 뚫려...늑장 방역 논란 / YTN (Yes! Top News)

2017-11-15 0 Dailymotion

[앵커]<br />그동안 조류 인플루엔자 최후의 안전지대로 여겨지던 동물복지 농장에서도 결국 AI가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동물복지 농장은 일반 양계장 등에 비해 마리 당 사육 면적이 넓고 사육 환경이 우수해서 AI 감염 위험이 낮은 것으로 여겨져 왔는데, 이번 AI는 피해 가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이성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12일 충북 음성군의 한 동물복지농장에서 AI 의심 신고가 방역 당국에 접수됐습니다.<br /><br />산란계 만3천 마리를 키우는 이 농장에서 닭 20여 마리가 폐사했고, 간이 검사에서 AI 양성반응이 나와 결국 산란계를 열처리 방식으로 처분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012년 관련 제도가 도입된 이후 동물복지농장으로 인증받은 곳은 전국적으로 백여 곳에 이릅니다.<br /><br />최소 사육면적이 일반 농장보다 3배 가까이 넓고 쾌적한 환경으로 전염병 등의 내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왔습니다.<br /><br />때문에 동물복지 농장은 그동안 AI에 감염된 곳이 단 한 곳도 없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2014년 H5N8형 AI가 전국을 휩쓸었을 때도 동물복지 농장의 가금류는 모두 안전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번에는 AI를 피하지 못했는데 농장주는 방역 당국의 늑장대응 탓이라고 주장합니다.<br /><br />지난달 농장 주변에서 AI가 잇따라 발생했는데도 매몰 처분 작업이 늦어졌고, 주위로 분진이 퍼지면서 자신의 농장도 AI에 감염됐다는 겁니다.<br /><br />[홍기훈 / 동물복지 농장 대표 : (지역에 AI가 발생하면) 신속하게 매몰 처분 결정하고 매몰 처분해서 차단 방역을 해서 주위에 피해를 없게 해줘야 하는 게 맞는 게 아닙니까. 이 매몰 처분 작업이 늦어지면서 저희가 12월 12일에 발병이 됐는데….]<br /><br />자신이 운영하는 다른 지역의 동물복지 농장 4곳은 이상이 없는데, 유독 이곳에서만 AI가 발생한 건 당국의 늑장 방역이 주원인이라는 겁니다.<br /><br />[홍기훈 / 동물복지농장 대표 : 발병 농가에 대해서 매몰 처분 처리가 돼서 2차 감염을 막아야 하는데 그런 부분이 지연되고 되지 않다 보니까 AI는 퍼질 수밖에 없고 걷잡을 수 없고….]<br /><br />방역 당국은 장비 등의 문제로 처리 작업이 다소 늦어진 점은 인정하지만, 이 때문에 AI가 퍼진 것은 아니라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[충북 음성군 관계자 : 매몰 처분을 늦게 해서 걸렸다고 하는 것은 그 주변에 있는 산란계 농장은 다 걸렸어야 하는데 갑자기 그곳은 건너뛰어서 그 농장으로 가기는….]<br /><br />마지막 안전지대로 여겨지던 동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61220173300795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