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부동산 시장 침체로 집값이 전세 보증금 이하로 하락하는 '깡통 전세'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발 금리 인상과 공급 과잉이 현실화하면 집값과 전세금은 더 내릴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전문가들은 깡통 전세 피해를 예방하려면 대출금 규모나 전세가율이 높은 집은 피하고 전세금 반환보증 보험에 가입할 것을 권합니다.<br /><br />권오진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11.3 부동산 대책 이후 집값 상승세가 꺾이면서 전셋값도 약세입니다.<br /><br />올해 주택 전셋값 상승률은 지난달 기준으로 1.51%에 그쳐 지난해의 3분의 1 수준입니다.<br /><br />연간 전셋값 오름세가 마이너스를 보였던 2004년 이후 최저 상승률입니다.<br /><br />특히 대구와 경북, 충남은 올해 전셋값이 1.2∼3.4% 내렸습니다.<br /><br />경기 고양과 광명, 구리, 파주, 광주 등은 최근 1주일 새 최대 0.13% 하락했습니다.<br /><br />서울 아파트 전세금은 지난주 불과 0.02%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이런 통계 수치는 '깡통 전세' 예고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집값과 전셋값 하락이 가속화해 집값이 전세금 보다 떨어지는 깡통 전세 피해는 본격화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깡통전세 현상은 1997년 외환위기와 2003년 카드대란,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경제 위기 때마다 반복해 왔습니다.<br /><br />나아가 내년과 내후년 전국에 78만 가구의 입주 물량이 쏟아지면 일부 지역에서는 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는 역전세 대란도 우려됩니다.<br /><br />경기 화성과 시흥·수원 등을 중심으로 벌써 역전세난이 가시화되는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깡통 전세 피해를 예방하려면 전세보증금을 돌려받기 위한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보험 가입을 우선 권합니다.<br /><br />또 전세 계약을 맺기 전 등기부 등본 등을 꼼꼼히 보고 대출금 규모나 전세가율이 70%를 넘는 주택은 피하라고 조언합니다.<br /><br />YTN 권오진[kjh0516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122007000175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