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조류 인플루엔자, AI가 사상 최악의 피해를 낳고 있는 가운데, 이번에는 새로운 유형의 바이러스가 발견됐습니다.<br /><br />두 가지 바이러스가 동시에 발생한 건 이번에 처음인데, AI 사태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장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경기도 안성 야생 조류 분변에서 고병원성 H5N8 바이러스가 발견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014년 겨울에서 이듬해 내내, 종식과 재개를 반복하며 무려 669일을 끈 바이러스입니다.<br /><br />현재 유행하고 있는 H5N6보다 병원성이 약해, 증상이 늦게 나타나고 폐사율도 낮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그만큼 발견이 어려워서 이번 AI 사태가 길어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에는 비슷한 사례가 있지만, 우리나라에서 두 가지 바이러스가 동시에 나타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<br /><br />독한 H5N6 바이러스에 질긴 H5N8 바이러스가 더 해지면서 방역의 어려움은 더 커졌습니다.<br /><br />[이준원 /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: H5N8은 증상이 잘 안 나타납니다. 거의 오리 같은 경우는 폐사가 안 되고 이러다 보니까 그 당시 (2014년-2015년) 신고가 지연되고….]<br /><br />AI는 이미 가금류 산업 자체를 흔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발생 한 달 조금 넘어 닭, 오리, 메추리 2천만 마리가 매몰 처분됐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달걀 낳는 산란계 5마리 중 거의 한 마리꼴로 사라졌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달걀 수급 차질이 장기화하면 외국에서 수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.<br /><br />AI가 발병하지 않는 미국이나 캐나다에서 항공편을 이용해 신속히 달걀을 들여오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[이준원 /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: 유통업자들이 들여올 수 있도록 항공유를 지원한다거나 할당 관세를 통해서 관세를 낮춰준다든가….]<br /><br />방역 당국은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AI 발생 지점 500m 안에 있는 모든 가금류를 매몰 처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작업이 늦어지지 않도록 이른바 '기동 방역 타격대'도 운용하고 있지만, 쌓여가는 가금류 사체를 제때 처리하기는 역부족입니다.<br /><br />YTN 장아영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121914580302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