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유용규 / 기상청 지진화산감시과장<br /><br />[앵커]<br />규모 5. 0의 이번 지진, 이번에는 기상청을 연결해서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유용규 지진화산감시과장 전화로 연결돼 있습니다. 안녕하십니까. 지금 공식적으로 집계된 내용들을 정리를 좀 해 주시죠.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지금 오늘 울산 동구 동쪽 52km 해역에서 5. 0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. 그래서 이 지진으로 울산지역에서 진도가 4 정도 느껴졌고요. 부산은 3 정도 느껴졌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 <br />이번 지진 속보를 저희가 보고 깜짝 놀랐던 게 규모입니다. 5.0, 상당히 이례적 아닙니까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기상청에서 1978년부터 지진을 관측하고 있는데요. 이 순위는 약 5위 정도 되겠습니다. 최근에 발생했던 것은 2014년 4월에 충남 태안 서격렬도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5.1이 되겠습니다. 그다음으로 큰 거죠.<br /><br />[앵커] <br />지금 진도 규모 말씀해 주셨는데요. 시청자분들을 위해서 진도와 규모의 차이점 설명을 부탁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실제 지진이 발생하면 지진이 발생했을 때 크기는 나타낸 게 규모고요. 지진이 발생하는 곳으로부터 사람이 느끼는 것을 표시하는 게 진도계급이라고 하고 있습니다. 계급은 1등급, 2등급, 3등급, 4등급 이렇게 등급으로 나누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지진이 발생한 곳에서 규모를 5. 0이라고 부르고 있고요. 그다음에 울산이나 부산지역에서는 진도 4등급으로 피해를 느끼거나, 사람이 느낄 정도죠. 그런데 피해는 없습니다. 사람이 얼마나 흔들렸는지 그걸 계급으로 나타낸 게 진도가 되겠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죄송하지만 진도계급도 설명해 주시면 좋을 것 같은데요.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진도가 이런 사람이 느끼는 정도를, 크기를 나타내는 게 진도입니다. 그러니까 어떤 등급을 딱 규정해놓고 분류해 놓은 거죠.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전세계에서 MMI 진도를 쓰고 있습누구다, 수정머카리진도라는 계급을 쓰고 있는데 12등급으로 나누고 있죠. 이 등급을 표시하면 지금 현재 부산이나 울산 정도는 약 4 정도 되겠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 <br />가구가 흔들리는 것을 감지하고 이동하는 것을 느꼈다 이 정도를 4로 보는군요.<br /><br />[인터뷰]<br />그렇습니다. 그 정도 돼서 지금 안동이나 그런 데는 2 정도고요. 서울도 민감한 사람들이 느꼈습니다. 건물 높은 데서도 느끼고요. 이런 것이 진도 1 정도 되겠습니다.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첫 지진이 밤 8시 33분쯤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8_2016070522264912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