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1인 가구' 비율 1위...전남 초고령 사회 진입 / YTN (Yes! Top News)

2017-11-15 6 Dailymotion

[앵커]<br />1인 가구의 수가 520만을 넘어, 우리나라에서 가장 주된 가구 유형으로 등장했습니다.<br /><br />저출산과 고령화의 여파로, 유소년 인구와 노인 인구는 거의 같아졌고, 전남이 시도 가운데 처음으로 초고령 사회가 됐습니다.<br /><br />오늘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주택 총조사 결과 알아보겠습니다. 고한석 기자!<br /><br />통계청이 5년마다 실시하는 인구주택 총조사 결과가 나왔는데요, 어떤 점이 눈에 띄나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보통 인구 센서스라고 불리는 인구주택 총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5년마다 한 번씩 우리나라 국민 모두를 전수 조사한 결과여서 신뢰도가 가장 높고, 경제 사회 모든 분야 통계의 바탕이 됩니다.<br /><br />조사 결과를 보면, 우선 지난해 11월 1일 기준, 총인구는 5천107만 명입니다.<br /><br />2010년 조사 때보다 2.7% 늘었습니다.<br /><br />또, 저출산 고령화가 인구 구조의 변화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고요.<br /><br />1인 가구가 520만을 넘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주된 가구 유형이 됐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1인 가구가 크게 늘었는데 왜 그런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청년층의 결혼 기피, 만혼 현상이 깊어지면서 1인 가구가 크게 늘었습니다.<br /><br />520만 3천 가구로, 전체 가구 유형 가운데 차지하는 비율은 27.2%입니다.<br /><br />1990년부터 2005년까지는 4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, 2010년에는 2인 가구가 1위가 됐고, 2015년에는 1인 가구의 비율이 가장 커졌습니다.<br /><br />이른바 '혼밥', '혼술' 세대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주된 가구 유형이 된 셈입니다.<br /><br />이와 함께 배우자가 사망한 뒤 자식들과 떨어져 혼자 사는 노인이 늘어난 것도 1인 가구 증가에 영향을 미쳤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저출산, 고령화의 영향은 인구 구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나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657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3.2%를 차지합니다.<br /><br />0에서 14세를 일컫는 유소년 인구는 691만 명입니다.<br /><br />1985년에는 노인이 175명에 불과했고, 유소년은 무려 천209만 명이었습니다.<br /><br />30년, 한 세대 만에 우리 사회가 급속히 늙게 된 겁니다.<br /><br />이 같은 고령화 속도는 갈수록 더 빨라져, 유소년 인구 대비 노인 인구의 수를 나타내는 노령화지수는 2010년 68%에서 2015년 95.1%로 치솟았습니다.<br /><br />지역별로 보면, 전국 시도 가운데 전남이 처음으로 노인 인구 비율 20%를 넘어 초고령 사회로 진입했습니다.<br /><br />노인 인구가 7%를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090712005559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