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'꿈의 원자로'로 불리던 일본의 고속증식원자로 '몬주'가 폐로 절차를 밟을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일본의 원자력 정책이 큰 전환점을 맞게 됐습니다.<br /><br />도쿄에서 최명신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1995년 발전을 시작한 일본의 고속증식원자로 '몬주'입니다.<br /><br />플루토늄과 우라늄의 혼합산화물을 투입해 발전하면 투입량보다 더 많은 재활용 핵연료를 배출해 한때 '꿈의 원자로'로 불렸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3개월 만에 냉각제로 쓰이는 나트륨이 유출되며 화재가 발생한 것을 시작으로 사고가 잇따라 20년 넘게 가동이 중단됐습니다.<br /><br />일본 정부는 애물단지로 전락한 '몬주'를 폐로하기 위한 관계 부처 간 조정작업에 착수했습니다.<br /><br />[스가 요시히데 / 일본 관방장관 : 몬주에 관해 현재 문부과학성과 관계 부처·기관이 연계해 정부로서의 대응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몬주는 개보수를 거처 다시 가동한다 해도 앞으로 10년간 6조 6천억 원, 폐로한다고 해도 3조 3천억 원의 천문학적인 비용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가동이 멈춘 현재도 연간 2천억 원의 관리비가 들어가는 '돈 먹는 하마' 신세입니다.<br /><br />일본 정부가 그동안 몬주 폐로를 쉽게 결정하지 못한 이유는 몬주 가동이 플루토늄 보유를 위한 명분이 됐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일본은 상업용 핵발전을 시작한 1960년대 이후 '사용 후 핵연료' 재처리와 고속증식원자로 건설을 축으로 하는 핵연료 사이클 정책을 고수해왔습니다.<br /><br />그런 탓에 유엔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을 제외하고 세계에서 유일하게 핵연료를 재처리해 핵폭탄의 원료가 되는 플루토늄을 추출할 수 있는 재처리 권한을 부여받았습니다.<br /><br />일본이 현재 국내에 보유하고 있는 플루토늄만 10.8t 톤으로 핵탄두 1,300개를 만들 수 있는 분량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일본은 이제 몬주 폐로로 재처리 권한을 잃을 수도 있어 그동안 고수해온 일본의 핵 정책이 뿌리째 흔들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도쿄에서 YTN 최명신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6091412260126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