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미국 대통령 선거는 우리나라와는 다른 독특한 제도를 갖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방제 국가인 미국은 유권자가 먼저 선거인단을 뽑아 간접선거로 대통령을 선출하게 되는데요.<br /><br />전체 득표에는 상대 후보보다 많은 표를 얻고도 대통령에 당선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<br /><br />계훈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2000년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 앨 고어 후보는 공화당의 조지 부시 후보보다 54만여 표를 더 얻고도 대통령에 당선되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얼핏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는 이런 결과는 미국의 독특한 선거방식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미국 대선은 유권자가 선거인단을 뽑고, 선거인단이 대통령을 뽑는 간접선거 방식으로 치러집니다.<br /><br />선거인단 수는 각 주마다 인구 비례에 따라 할당돼 있습니다.<br /><br />선거인단 선출은 해당 주에서 한 표라도 더 얻는 후보가 모두 가져가는 이른바 '승자독식'의 방식이 적용됩니다.<br /><br />예를 들어 선거인단 수가 10명인 경우 전체 득표에서 한 표 차라도 이긴 후보가 선거인단 10명 모두를 싹쓸이합니다.<br /><br />선거인단이 가장 많은 주는 55명인 캘리포니아주이며 몬태나, 알래스카 주 등은 3명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이렇게 미국 50개 주 선거인단 수를 모두 합치면 538명이 됩니다.<br /><br />때문에 득표율에 관계없이 과반인 270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하는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됩니다.<br /><br />따라서 전체 득표율이 비슷하다고 가정했을 경우 선거인단 수가 많은 주에서 이기는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.<br /><br />YTN 계훈희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6110800033947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