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박근혜 대통령 탄핵 정국이 시작되면서 우리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폭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당장 오는 15일에 있을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전망에 대비해야 하는데, 쓸 수 있는 통화 정책 자체가 많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이대건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이탈리아 개헌 투표 부결이라는 유럽발 악재를 비교적 잘 넘긴 우리 경제 앞에 조만간 더 큰 악재가 다가옵니다.<br /><br />바로 우리 시각으로 오는 15일에 있을 미국의 기준 금리 인상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이른바 '최순실 게이트'에서 촉발된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정국 이전부터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기정사실로 받아 들여왔습니다.<br /><br />게다가 최근 발표된 미국의 주요 경제 지표들도 금리 인상 쪽에 더욱 무게를 싣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 성장률은 2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고, 지난달 소비자신뢰지수도 지난 2007년 7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미국 시장에서도 이번에 금리를 올릴 가능성을 90% 이상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미국 기준 금리 인상이 이번에만 그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벌써 내년에 3차례 정도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금리 인상 속도가 예상보다 훨씬 빨라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미국 기준 금리 인상은 탄핵 정국 이후 더욱 위태로운 우리 경제의 첫 시험대입니다.<br /><br />[임종룡 / 금융위원장 : 기획재정부, 한국은행 등 관계기관과 협력을 강화하고 국내외 시장 동향과 외화 유동성 상황뿐만 아니라 각 금융업권, 금융회사들의 특이 사항을 매일 치밀하게 점검하겠습니다.]<br /><br />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도 다른 신흥국처럼 금리 인상에 동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되면 가장 큰 걸림돌은 바로 이미 1,300조 원을 넘어선 천문학적 규모의 가계부채입니다.<br /><br />그렇다고 그냥 두자니 외화 유출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놓여 있습니다.<br /><br />결국, 불확실성이 증폭되는 경제 위기 상황에서 쓸 수 있는 카드가 별로 없다는 게 우리 정부의 가장 큰 고민입니다.<br /><br />YTN 이대건[dgle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121116511675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