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평생을 탈(脫)모더니즘 전선에 섰던 화가 김용익이 화사한 색감의 그림과 함께 되돌아 왔습니다.<br /><br />일흔을 바라보는 나이에 이념 대신 본성에 충실하겠다는 작가를 임수근 기자가 만났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김용익 화백의 요즘 그림은 격자로 배치된 작은 원들의 변주입니다.<br /><br />건축 도면처럼 설계도를 그리고 필름 본(本)을 캔버스에 붙인 뒤 나이프로 원 안에 안료를 칠하는 즉흥적인 작업입니다.<br /><br />지금의 작업은 90년부터 해온 동그라미 시리즈의 연장선에 있습니다.<br /><br />단색화의 대표 박서보의 제자이지만 70년대 중반 이후 20년 동안 탈모더니즘을 시도했던 작가는 2000년 이후 민중미술과 공공미술로 방향을 틀었습니다.<br /><br />[김용익 / 화가 : 모더니즘 작업을 20여 년간 하면서 너무 삶과 유리된 작업을 통해서 나 자신이 병들었다. 실제로 몸이 아팠어요.]<br /><br />40여 년 동안 모더니즘의 전복을 꿈꾸던 작가가 동그라미 연작 30여 점을 선보였습니다.<br /><br />원을 채우거나 비웠지만 일관된 목표는 질서정연한 모더니즘에 균열을 내는 것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의식과 실재는 달랐습니다.<br /><br />목표는 모더니즘의 균열이었지만 작품은 결국 모더니즘으로 남았습니다.<br /><br />캔버스에 바른 풀물이나 거친 연필 덧칠도 결국 선명한 원의 질서를 이기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[김용익 / 화가 : 다시 한 번 나 자신을 돌이켜서 출발지점으로 돌아가 보자. 그러나 출발지점으로 돌아가서 새로운 작업을 할 때 그것이 옛날 것의 반복이 되지 않기를 바라고 있는 거죠.]<br /><br />'자신의 몸과 의식에 정직한 그림.'<br /><br />돌아온 모더니즘 화가 김용익의 철학입니다.<br /><br />YTN 임수근[sgl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6_2016121600045745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