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오늘 발생한 영동선 무궁화호 탈선 사고는 전형적인 장마철 낙석 사고였습니다.<br /><br />실제 정부가 추정하는 붕괴위험 지역은 전국적으로 1,700곳에 이르는데요.<br /><br />대책은커녕 아직 복구공사를 마무리하지 못한 곳이 많습니다.<br /><br />지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강원도 춘천 외곽에 있는 지방도로입니다.<br /><br />도로 옆 절개지가 아찔하게 패였고, 길 아래엔 암석이 굴러다닙니다.<br /><br />장마철이나 해빙기에 낙석 사고가 상습적으로 발생한 지역.<br /><br />결국, 도로를 완전히 차단하고 보수공사가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이 구간은 지난 2009년 급경사지 붕괴 위험지역으로 지정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매년 형식적인 점검이 이뤄지고 예산이 부족하다 보니 지난 5월 들어서야 겨우 공사가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장마에 태풍까지 다가오고 있지만 공사는 내년까지 이어져야 합니다.<br /><br />집중호우가 오면 언제든 토사 유출이나 낙석 같은 추가 붕괴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이번에 발생한 영동선 무궁화호 열차 탈선 사고 역시 마찬가지.<br /><br />철도나 산간도로 주변엔 경사가 급한 잘린 땅이 많고 장맛비에 지반은 약해집니다.<br /><br />현재 전국의 급경사지는 모두 만사천여 곳.<br /><br />안전진단 결과 붕괴 위험 지역으로 분류된 곳은 천칠백 곳이 넘습니다.<br /><br />지난여름 수해나 봄 해빙기 때 훼손됐는데 복구가 늦어지며 무방비로 노출된 곳도 부지기수입니다.<br /><br />[자치단체 관계자 : 정부가 순위를 매겨서 (정비 공사를) 해요. 안전등급에 의해서. 만약 B나 C등급이면 조금 (예산배정이) 늦어지죠.]<br /><br />매년 장마철을 앞두고 부랴부랴 이뤄지는 안전시설 정비 공사.<br /><br />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지만, 대책은 여전히 미흡합니다.<br /><br />YTN 지환[haji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6070422183251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