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가계 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특히 주택담보대출이 가계 부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자, 정부가 부채를 줄이겠다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보금자리론이나 적격대출 판매가 사실상 중단된 데 이어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들썩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박소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코픽스는 은행들의 자본조달 비용을 반영한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를 말합니다.<br /><br />은행연합회가 매달 산출하는데, 9개 시중은행의 정기예금과 적금 등 자본조달 상품 비용을 취합해서 냅니다.<br /><br />신규취급액, 그러니까 새로 조달한 자금을 대상으로 산출한 지난달 코픽스는 1.35%로, 8월보다 0.04%포인트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시장 금리가 오르면서 신규취급액 코픽스가 상승세로 바뀐 건 아홉 달 만입니다.<br /><br />이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오를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특히 이달 들어서는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을 더욱 바짝 조이면서 은행권도 대출심사를 까다롭게 하고 있죠.<br /><br />집을 사려고 혹은 전셋집 마련하려고 돈을 빌리거나 빌리려던 가구에는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실제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봐도 상승 추세입니다.<br /><br />시중은행 7곳의 7월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는 연 2.67%였는데 8월에는 2.71%로 0.04%포인트 올랐습니다.<br /><br />보금자리론은 만기가 최장 30년까지인 데다 고정금리에 연 2.5~2.7%여서 인기가 높았죠.<br /><br />하지만 주택금융공사는 지난 16일 보금자리론 담보 주택가격을 9억 원에서 3억 원 이하로, 대출한도는 5억 원에서 1억 원으로 축소하고 대출자 연 소득도 부부합산 6천만 원까지로 제한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신청자 너무 몰려서 이런 조치를 취했고 내년에는 공급을 정상화하겠다고 밝혔지만, 당장 대출을 받으려던 사람들이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적격대출 역시 장기 고정금리 상품으로, 변동금리에 일시상환이 주를 이루는 주택담보대출 구조를 바꾸려고 2012년에 출시됐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 현재는 대부분 은행에서 16조 원으로 알려진 올해 한도가 소진되면서 대출을 중단했습니다.<br /><br />이 두 가지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되자 디딤돌 대출로 눈을 돌리는 사람들이 적지 않죠.<br /><br />연 소득 부부합산 6천만 원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가 대상이고, 금리는 최대 2.9%입니다.<br /><br />앞서 두 대출보다는 금리가 높고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은 적은 편입니다.<br /><br />정부가 가계 대출을 줄이는 정책을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101900131659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