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김, 박, 최' 씨가 '킴, 파크, 초이' 씨로 불리는 이유 / YTN (Yes! Top News)

2017-11-15 2 Dailymotion

[앵커]<br />한글은 알파벳으로 발음을 정확하게 표기하기 어려운 문자 가운데 하나죠.<br /><br />그런데 최근에 한 외신이 한글 이름을 알파벳으로 표기하는 방식에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실제 발음과 다르게 쓰는 경우가 많아서 외국인들이 혼란스럽다는 건데요.<br /><br />이유가 무엇인지 전준형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[라이언 멀버니 / 미국인 관광객 : 킴, 파크, 리, 초이, 캥, 챙]<br /><br />미국인들이 발음하는 한국인 성입니다.<br /><br />[김보경 / 대학생 : 김, 박, 이, 최, 강, 장]<br /><br />한국 사람의 발음과는 확연하게 다르다는 건 누구나 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AP통신은 한국의 대표적인 성을 실제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면 김은 Ghim, 박은 Bahk, 최는 Choe에 가깝다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유독 한글 이름의 발음이 실제와 다른 이유는 뭘까?<br /><br />AP통신은 영어의 영향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과거에 영문 이름을 정할 때 비슷한 영어 단어를 빌려 쓰거나 부정적인 단어를 피하려고 표기법을 바꾸다 보니 발음이 실제와 달라졌다는 겁니다.<br /><br />[정희원 /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: KIM이라 LEE 같은 게 이미 영어권에서 사용되는 이름이고…영어에 이미 있는 단어를 가져다가 친숙한 것으로 쓰고자 했던 것이 관습적으로 굳어졌다고 생각합니다.]<br /><br />지난 2000년 한국 정부가 실제 발음에 충실한 로마자 표기법을 정하긴 했지만, 사람들의 성과 이름은 거의 바뀌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대부분 부모의 영문 표기법을 그대로 이어받아 썼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이러다 보니 같은 성인데도 영문 표기법이 제각각인 경우도 많습니다.<br /><br />박찬호와 박세리, 이승만과 이명박 등이 대표적입니다.<br /><br />현재 사용되는 국어 로마자 표기법의 경우 최대한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려다 보니 한글 고유의 음절을 파괴하는 등의 단점이 있어 찬반 논란도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한글을 모르는 외국인에게 정확한 정보를 주는 게 목적이라면 어떤 원칙을 적용하든 일관된 통일성부터 갖추는 게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YTN 전준형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7010205552692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