남편 : 여보, 나 왔어.<br /><br />[조윤경]<br />남편이 아내에게 선물을 할 때는 매우 신경을 써야 하는데요.<br /><br />남편 : 이기 선물!<br /><br />아내 : 선물? 뭔데?<br /><br />[조윤경]<br />그런데 봉지를 열어 본 아내의 얼굴이 심상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아내 : 아니 이게 뭐야~ 수세미잖아? <br /><br />남편 : 이거 이태리장인이 만든 거래. 만 원 주고 샀어. 잘 써.<br /><br />아내 : (혼잣말로) 이런 개떡 같은 물건을 만 원이나 줬다고? 아이고, 내가 미쳐!!<br /><br />[정재환] <br />아내에게 점수 따려고 선물 사 왔다가 오히려 점수를 깎인 경험, 아마 남편들은 한 번씩 있을 겁니다.<br /><br />[조윤경]<br />정재환 씨도 있으세요?<br /><br />[정재환]<br />아하. 예. 뭐. 아하하하.<br /><br />저야 뭐, 그렇죠.<br /><br />그런데 말이죠. 왜 물건을 개떡 같다고 하는 거죠?<br /><br />저는 개떡 좋아하는데, 맛있잖습니까!<br /><br />[조윤경]<br />네. 저도 개떡 참 좋아합니다만, 이 '개떡 같다'는 못생기거나 마음에 들지 않아 매우 보잘것없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입니다.<br /><br />[정재환]<br />그런데 왜 떡 앞에 '개'를 붙인 걸까요?<br /><br />[조윤경]<br />떡 앞에 아무렇게 되어 변변치 못하다는 '개'라는 접두사를 넣어서 하잘것없는 떡이라는 것을 강조한 겁니다.<br /><br />[정재환]<br />저는 말이죠, 이 개떡이 맛있거든요. <br /><br />이게 참 떡으로 인정받지 못한 게 아쉽습니다, 진짜.<br /><br />[조윤경]<br />먹을 것이 없던 힘들었던 시절에 밀가루나 보릿가루 등을 반죽해서 아무렇게 볼품없이 만들어 먹었기 때문에 개떡이 떡 취급을 받지 못한 것입니다.<br /><br />[정재환]<br />오늘 배운 재미있는 낱말, '개떡 같다'입니다.<br /><br />[조윤경]<br />못 생기거나 마음에 들지 않아 매우 보잘 것 없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인데요.<br /><br />보릿고개 시절 밥 대신 쌀겨나 보릿가루로 만든 개떡이 볼품없었다는 것에서 유래했습니다.<br /><br />[정재환]<br />예전 넉넉지 않던 시절, 서민들이 많이 먹던 개떡인데요. <br /><br />조금 부정적으로 쓰이고 있는 게 정말 아쉽습니다. <br /><br />[조윤경]<br />그렇죠? <br /><br />그래서 요새는 '개떡 같다'는 표현보다는 '형편없다, 보잘 것 없다'라는 표현을 더 많이 쓰는 것 같네요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85_2017010906031063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