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AI가 전국에서 창궐했지만 친환경, 동물복지 농장처럼 생육환경이 좋은 곳에서는 감염된 사례가 거의 없습니다.<br /><br />달걀값이 폭등해도 전국의 로컬 푸드나 생협 등에서는 가격을 대부분 전과 같이 유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우리 축산물의 생산과 유통 방식에 근본적으로 변화가 필요한 건 아닌지 생각해볼 일입니다.<br /><br />송태엽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전북 완주군의 한 로컬 푸드 매장입니다.<br /><br />15개들이 유정란 꾸러미의 가격이 AI 파동 전과 똑같습니다.<br /><br />[김희정 / 전북 익산시 송학동 : 어저께도 농협에서 일반란이 5천5백 원 이더라고요. 근데 오늘 유정란이 5천5백 원이라 싸더라고요.]<br /><br />완주군 일대 천여 농가로부터 농산물을 납품받는 이곳에서는 조합원들이 협의해 가격을 결정하고 나면 계절이나 수급 상황에 따라 바꾸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.<br /><br />[이수봉 / 완주 로컬 푸드 모악점장 : 기존에 소비자분들이랑 약속된 가격이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그 가격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]<br /><br />유정란 생산자 조합원의 농장을 찾아가 봤습니다.<br /><br />9년 전 귀농한 농장주가 산란계 천여 마리를 키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농장에서는 수탉 한 마리에 암탉 15마리로 성비를 맞췄고, 바닥에는 왕겨를 두텁게 깔았습니다.<br /><br />냄새를 맡아봐도 악취가 거의 없습니다.<br /><br />닭을 좁은 우리에 가두지 않고 산란실도 별도로 만들었습니다.<br /><br />생육 환경이 좋은 이 농장은 AI 피해를 당한 적이 한 번도 없습니다.<br /><br />로컬 푸드 협동조합에 출하하기 때문에 판로도 안정적입니다.<br /><br />[송규섭 / 완주군 경각산 유정란 대표 : 중간단계가 없고 농가에서 직접 출하하기 때문에 중간에 상인들의 이윤 같은 게 없고, 그래서 가격도 안정되게 할 수 있고….]<br /><br />소비자와 생산자, 그리고 사육되는 동물까지 상생할 수 있는 협동조합식 축산이 AI를 막을 수 있는 근본 대책의 하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송태엽[tayso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011002441064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