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교육부가 전국의 모든 중학교에 자유학기제를 도입한 지 1년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여전히 많은 우려가 있지만 학생 참여형 수업과 지필고사 없는 성취도 평가로 학생과 교사들의 만족도는 높은 편입니다.<br /><br />김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강원도 원주의 한 중학교에서 음악을 가르치는 문지영 선생님,<br /><br />첫 대단원을 시작할 때면 늘 학생들의 귀에 익숙한 광고음악이나 대중음악으로 수업을 시작합니다.<br /><br />자유학기제 이후 수업 전 많은 준비를 하는 대신 수업은 학생 스스로 주도하게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문지영 / 강원 단구중 교사 : 교사는 수업 전후에 바쁘고 수업 중에는 아이들이 바빠야 한다고 생각을 해요. 그래서 아이들이 음악을 자연스럽게 즐거워하면서 좋아하게 만들어서 삶에 계속 활용할 수 있게…]<br /><br />이처럼 주입형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 참여형·체험 수업이 중심이 되고 중간·기말고사 대신 수행평가로 성취도를 매기는 자유학기제,<br /><br />지난 2013년 처음 도입된 이후 지난해에는 전체 중학교로 확대됐습니다.<br /><br />1년 사이,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행복감이나 수업 참여도 등 만족도는 제법 높아졌습니다.<br /><br />[오민지 / 덕이 중학교 1학년 : 수업이라는 틀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게 학생들에게 가장 기쁜 사실인 거 같고, 또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해 흥미로운 경험을 해서 학생들이 더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.]<br /><br />교육부는 이 같은 긍정적 효과를 살려 '자유 학기제'를 넘어 '자유 학년제'를 도입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[예혜란 / 교육부 공교육진흥과 과장 : (법령 개정 등) 제도적인 기반을 조성하는 작업을 해서 희망하는 학교와 교육청이 '자유 학년제'를 할 수 있게 도와드리려고 합니다.]<br /><br />하지만 성적 위주의 입시 경쟁 속에서 시험을 보지 않는 학생들의 학업 능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학부모들의 우려는 여전합니다.<br /><br />또, 프로그램이 진로체험 쪽으로 편중돼 토론·실습 관련 수업이나 체험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도 교육 당국이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.<br /><br />YTN 김지영[kjyou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11505122814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