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건강을 위해선 채소를 충분히 섭취해야 하지만 혹시 남아 있을지 모르는 농약이 걱정될 때가 있는데요.<br /><br />YTN 데이터저널리즘팀이 지난 10년 동안의 잔류 농약 검사 결과를 분석해보니, 실제로 깻잎이나 취나물, 쑥갓 등이 기준치 이상의 농약이 많이 나온 채소로 꼽혔습니다.<br /><br />그 이유는 무엇인지, 그리고 어떻게 해야 농약을 올바르게 제거할 수 있는지, 김수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10년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검사 결과 잔류 농약이 기준치 이상 검출된 농산물을 1위부터 10위까지 뽑아봤습니다.<br /><br />가장 빈번하게 농약이 과다 검출된 품목은 깻잎이었고, 다음이 취나물, 시금치, 쑥갓, 부추, 상추의 순서였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에는 지난 5년으로 기간을 한정해봤더니 순위는 바뀌지만 취나물이나 쑥갓, 부추, 시금치, 깻잎과 같은 채소가 여전히 잔류 농약이 많이 검출됐습니다.<br /><br />취나물과 쑥갓의 경우 10년 자료를 기준으로 검사한 표본 가운데 10% 정도에서 농약이 기준치를 넘게 검출되었습니다.<br /><br />유달리 이런 잎줄기채소에서 잔류 농약이 많이 검출되는 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.<br /><br />이같은 채소는 주로 소규모 경작지에서 생산되는데, 특정 작물에 뿌리도록 허가받은 농약이 아닌 미등록 농약을 뿌리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[홍수명 / 농촌진흥청 농업연구관 :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미등록 농약을 적용함으로써 허용 기준인 0.01ppm 이상으로 존재하는 경우인데, 그 작물에 적용이 농약관리법상 안 되어 있는 농약을 미등록 농약이라고 하고요. 미등록 농약이 (특별히) 위험하거나, 안 좋은 고독성 농약은 아닙니다.]<br /><br />적발 건수가 많지는 않지만 친환경 인증을 받은 농작물에서 기준치 이상 농약이 검출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일부 작물에서는 중금속도 과다 검출됐습니다.<br /><br />주로 쌀이나 콩 같은 작물에서 카드뮴이나 납 같은 중금속이 기준치 이상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등록 농약이건 미등록 농약이건 소비자 입장에서는 올바른 방법으로 잔류 농약을 제거하고 농산물을 섭취하는 게 중요합니다.<br /><br />가열하면 농약을 거의 제거할 수 있지만, 날 것으로 먹는 과일이나 쌈 채소는 제대로 된 방법으로 씻어야 합니다.<br /><br />식품의약품안전처 실험 결과 흐르는 물에만 씻는 것보다는, 물에 1분 이상 담갔다가 이 물은 버리고 새로 물을 받은 뒤 손으로 저어서 씻는 방법이 농약 제거에 더 효과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12905535640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