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삼성과 LG가 미국 가전제품 시장을 휩쓸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우수한 기술력으로 프리미엄 가전 시장은 절반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데, 특히 삼성은 미국의 1위 업체 월풀까지 처음으로 제쳤습니다.<br /><br />박소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떨어진 식 재료를 주문해주는 냉장고!<br /><br />청소기를 돌리고, 오븐도 켜주는 로봇!<br /><br />세계 최대 가전 박람회, CES가 열릴 때마다 삼성과 LG는 세계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지난해에는 냉장고, 세탁기 등 미국의 5대 생활가전 시장을 장악했습니다.<br /><br />점유율에서 삼성전자가 1위, LG전자는 3위를 기록했는데, 특히 삼성은 굳건한 선두였던 미국 가전업체 월풀을 제쳤습니다.<br /><br />저렴한 가격을 내세웠던 과거와 달리 기술력을 앞세운 프리미엄 가전들로 승부를 낸 결과입니다.<br /><br />미국에서는 문이 넷 달린 프렌치도어 냉장고 시장도, 비싼 드럼 세탁기 시장도 삼성과 LG가 절반 이상 차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업그레이드한 신제품을 끊임없이 내놓고 있는 것도 시장을 선도하는 또 하나의 요인입니다.<br /><br />[윤지남 / 삼성전자 커뮤니케이션팀 : 혁신적인 대용량 가전을 선호하는 미국 소비자들의 취향을 분석해 매년 신제품을 출시했으며 세탁기, 냉장고 등 주력제품 시장에서 프리미엄 전략을 꾸준히 펼쳐온 것이 주효했습니다.]<br /><br />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 기술이 키워드인 앞으로의 가전 시장에서도 모바일 사업을 하는 두 기업의 기술력은 앞서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안심하기엔 이릅니다.<br /><br />트럼프 정부가 높은 관세 장벽을 예고한 가운데 삼성과 LG 모두 멕시코에 가전 생산 공장을 둔 만큼 대비책이 절실합니다.<br /><br />[이재윤 / 유안타증권 연구원 : 통신 쪽이나 디스플레이 이런 부품 쪽에 더 경쟁력을 갖고 있으니까 앞으로도 이쪽에 하이엔드(혁신 기술) 전략을 적절히 잘 전개하면서 경쟁력을 더 개선할 수 있을 거라고 판단합니다.]<br /><br />이뿐 아니라 빠르게 추격해오는 중국 가전업체들을 어떻게 따돌릴지도 중요한 숙제입니다.<br /><br />YTN 박소정[soju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13120225506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