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지난해 태어난 아기 수는 40만 명으로,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적었습니다.<br /><br />급속한 고령화로 올해부터는 우리 경제 주축인 생산가능인구마저 줄게 돼, 이른바 '인구 충격'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고한석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31살 송지애 씨는 결혼 3년 만에 첫 아기를 가졌습니다.<br /><br />창업을 준비 중이어서 임신해야 하나 고민이 많았지만, 더 미루는 것보다는 아기와의 만남을 선택했습니다.<br /><br />[송지애 / 임신 8개월 : 산후조리부터 시작해서 교육비까지 순차적으로 계속 나가기 때문에 그게 가장 큰 고민이 되긴 했는데요. 어쨌든 저희 부부가 아끼고 자녀들에게 투자하는 방향으로 해서….]<br /><br />일 때문에, 경제적 부담 때문에 아이 낳기가 두려운 게 현실입니다.<br /><br />이는 출산율 저하로 이어져 최근 몇 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던 한해 출생아 수는 지난해 7% 넘게 뚝 떨어지며 역대 최소인 40만6천 명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재작년 출생아 수와 비교하면 한 달 동안 아기가 태어나지 않은 셈입니다.<br /><br />70, 80년대에는 출산 억제 정책 때문에, 이후에는 저출산 현상이 굳어지면서 출생아 수가 줄더니 이제는 40만 명 선도 위태롭게 됐습니다.<br /><br />독신 남녀가 증가하고, 한 자녀 비율도 늘면서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합계 출산율은 1.17명까지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[이지연 /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: (출산 활발한) 30대 초반 인구가 감소했고, 30대 후반인 1979년∼1982년생들이 이미 혼인율 자체가 굉장히 떨어지면서 첫째 아이는 물론 둘째 아이도 적게 낳았던 것이 원인입니다.]<br /><br />반면, 급속한 고령화로 지난해 사망자 수는 역대 최대인 28만천 명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 자연 증가 규모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적어져, 인구 감소 시점은 더욱 가깝게 다가왔습니다.<br /><br />우리 경제 주축인 15세에서 64세 사이 생산가능인구도 올해부터 감소하기 시작해,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'인구 충격'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고한석[hsgo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22221512145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