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고영환 / 前 북한 외교관, 양욱 / 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<br /><br />[앵커]<br />북한이 또다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올해 들어 벌써 네 번째 도발인데요.<br /><br />대통령 탄핵 이후 첫 도발이라 청와대와 군 당국은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미국과 중국도 북한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의 첫 회담을 앞두고 있어 더욱 그러한데요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'인류의 문제'라면서, 미-중 정상회담에서 북한 문제를 논의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때문에 전문가들은 이번 북한의 도발을 놓고 미-중 정상회담을 겨냥한 무력시위 성격이 짙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자신들의 존재감을 과시하고 강경한 핵미사일 개발 의지를 과시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인데요.<br /><br />강력한 대북 제재에도 불구하고 연이어 도발을 감행하는 북한.<br /><br />안보 위협이 최고조에 달한 가운데 국제사회 내 북한의 입지에는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?<br /><br />전문가들과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 <br />지금 박상연 앵커가 전해 드렸습니다마는 관련 내용 여러분께 상세히 분석해 드리기 위해서 지금 스튜디오에 두 분 모셨습니다. 대한민국으로 망명하신 최고위급 탈북인사 중 한 분이시죠.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의 고영환 부원장. 그리고 한국국방안보포럼의 양욱 위원 두 분 나와 계십니다. 어서 오십시오.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십니까. <br /><br />[앵커]<br />일단 북한이 미사일 쐈어요. 의도가 뭐라고 보십니까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가장 중요한 것은 어쨌든 뭐라고 세상이 그래도 우리는 우리 일정대로 간다. 그리고 우리 군사력이 세계 최고다, 이런 것들도 있을 것 같고. 아무래도 내일하고 모레 시작되는 미중 정상회담에 앞서서 우리도 있다, 그리고 왜 우리 문제를 가지고 너희들이 하는지 기분 나쁘다 이런 여러 가지 복합적인 성격의 미사일 발사인데. 다만 그 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봐서는 너무 크게 자극은 하지 않겠다는 생각은 분명히 가지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. <br /><br />[앵커] <br />너무 크게 자극을 안 한다. 그게 바로 미사일 종류가 여러 종류죠? 어떤 종류를 쓰는지에 따라서 메시지가 달라지는데 이번에 쏜 것은 미국 태평양사령부 중거리 북극성 2호라고 하는데 다른 얘기도 있어요.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북한이 여태까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405193033707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