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이현종 / 문화일보 논설위원, 이종훈 / 정치평론가, 서정욱 / 변호사<br /><br />[앵커] <br />북한에 억류됐다가 혼수상태로 송환됐던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가 오늘 사망했습니다. 악재가 속출하면서 다음 주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되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전문가 세 분 모셨습니다.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, 이종훈 정치평론가 그리고 서정욱 변호사 나오셨습니다. 어서 오세요.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<br />[앵커] <br />한미 정상회담 외교 전략이 점차 고차방정식이 돼가고 있습니다. 주제어 보시죠. <br /><br />웜비어의 사망, 한미 정상회담을 지금 코 앞에 두고 있는 상황인데 일종의 악재라고 할 수밖에 없겠죠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일단 미국의 분위기 자체가 북한에 대해서 굉장히 강경한 분위기로 돌아섰기 때문에 사실 오늘 문재인 대통령이 CBS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상당히 북한과의 대화 문제에 대해서 방점을 찍지 않았습니까? <br /><br />올해 안에 남북 정상회담의 개최를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서 사실 한미가 어떤 면에서 보면 북한 전략에 대한 공조를 해야 되는데 지금 일단 미국 분위기는 굉장히 강경 기류로 싸늘하게 식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. 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사실은 문재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통해서 남북 정상회담의 필요성, 이런 것들을 강조하고 싶어했던 것 같은데 문제는 미국 쪽의 분위기가 싸늘하게 식음으로 인해서 어떤 접점을 찾아내기가 상당히 힘들어지지 않았나 싶습니다. <br /><br />일단 문 대통령은 북한과의 대화 모드를 빠르게 가져가고 싶고 반대로 지금 트럼프 대통령 같은 경우는 이런 분위기 때문에 북한에 대한 조금 더 압박과 지금 강경한 정책, 이런 것들을 하고 싶어하는 그런 상황이기 때문에 조금 엇박자가 나지 않을까 그런 우려가 되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[앵커] <br />시기별 상황을 다시 한 번 간략하게 정리를 해 드리면 억류에서 석방까지 과정이 이렇게 됩니다. 지난해 1월에 관광차 평양을 방문했고요. <br /><br />그리고 3월 체제 전복 혐의를 받았습니다. 그러니까 정치선전물을 훔치려 한 혐의를 받아서 노동교화형 15년이 선고됐습니다. <br /><br />그리고 지난 5월 미국 측 수석대표죠. 조셉 윤이 북한 외무부 대표를 접촉해서 석방의 노력을 했고요. <br /><br />그리고 지난 13일 억류 17개월 만에 혼수상태로 석방이 됐지만 결국 엿새 만에 숨지고 말았습니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62022520594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