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영양사와 조리사 등을 비롯한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처우 개선을 촉구하며 이틀 동안 총파업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첫날인 오늘 전국 2천여 개 학교에선 급식이 중단돼 빵이나 도시락으로 대신하거나 단축수업을 했습니다.<br /><br />최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초등학교 점심시간, 오늘 메뉴는 엄마표 반찬입니다.<br /><br />급식실 비정규직 조리원들이 파업에 나서면서 대신 도시락을 싸온 겁니다.<br /><br />[안예은 / 강원 소양초등학교 3학년 : 엄마가 불편하긴 불편하겠지만 저희한테 좋은 거는 도시락이 좋지 않을까.]<br /><br />또 다른 초등학교도 사정은 비슷합니다.<br /><br />이 학교는 아예 점심으로 빵과 우유, 바나나를 준비했습니다.<br /><br />이 초등학교의 경우 무기계약직 조리원 5명이 파업에 참여하면서 급식실 운영이 중단됐습니다.<br /><br />학부모들은 상황을 이해하면서도 한편으론 불만을 감출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[강인경 / 초등학생 학부모 : 비정규직에 대해서 이해 못 하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아이들 밥은, 한 끼는 그냥 챙겨줬으면 하는데….]<br /><br />아예 수업을 단축해 점심을 먹지 않고 학생들을 일찌감치 하교시킨 학교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총파업 첫날 전국 만천여 개 국공립학교 가운데 2천여 학교에서 급식이 중단됐습니다.<br /><br />[김혜영 / 초등학교 무기계약직 영양사 : 저희도 급식 멈추고 싶은 마음 없었고 아이들 볼모로 삼고 싶은 마음 절대 없습니다. 그렇지만 처우가 나아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….]<br /><br />학교 비정규직노조는 근속수당을 1년에 2만 원에서 5만 원으로 올리고 복리후생 수당을 정규직의 80% 수준까지 높여달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오성희 / 초등학교 무기계약직 조리원 : 제가 22년 동안 근무했지만 현재 입사한 사람(정규직)하고 기본급이 똑같아요.]<br /><br />하지만 교육청은 예산 확보가 어렵다는 입장이어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북과 제주, 울산을 제외하고 임금 교섭이 결렬된 14개 시도 학교에서 진행된 이번 파업은 역대 최대 규모로 해를 거듭할수록 파장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최아영[cay24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62922212362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