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이웅혁,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<br /><br />[앵커] <br />경남 합천에서 자신의 친아들을 붙잡고 24시간 동안 인질극을 벌였던 40대가 길고 긴 대치 끝에 조금 전 자수했습니다.<br /><br />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 모시고 자세한 얘기 들어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십니까. <br /><br />[앵커] <br />어제 오후부터 거의 24시간 가까이 인질극을 벌이지 않았습니까? <br /><br />결국은 조금 전 4시쯤에 자수를 했는데요. 자수하는 데 결정적인 요인은 무엇이었습니까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아무래도 인질 협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시간을 많이 확보하는 것입니다. <br /><br />그래서 시간은 경찰 편에 있다고 하는 이 얘기가 중요한 것이죠. 왜냐하면 인질 상황에 임박해서는 상당 부분 불안정한 심리가 있습니다. <br /><br />그래서 극단적인 상황을 실제로 옮길 수도 있는데 어쨌든 아이를 먼저 인질로 풀어놓게 하고 그다음에 소위 채찍과 당근처럼 한쪽에는 경찰특공대가 보이게 하고 한쪽에는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협상팀이 상당 부분 있다고 하는 점. <br /><br />그러다 보니까 시간이 많이 흐름으로써 본인의 불안정한 심리가 어느 정도 회복이 됐고 또 이 와중에서 여러 가지 자수에 대한 설득, 이것이 가장 주효한 자수에 관한 원인이라고 봐야 될 것 같고요. <br /><br />어쨌든 가장 중요한 터닝포인트는 아들이 인질로 됐는데 다른 부상 없이, 물론 정신적인 부상은 있겠지만 잘 구출했다고 하는 점. 그리고 일반적으로 아들을 바로 인질로 삼는 경우는 상당히 특이합니다. <br /><br />따라서 아마 이 가정 내에 무엇인가 우리가 알지 못하는 장기간 축적된 불화, 그것이 가장 인질의 요인이 되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됩니다. <br /><br />[앵커] <br />교수님께서도 짚어주셨지만 이 사건을 대하면서 가장 걱정이 됐던 게 아이는 앞으로 정신적인 상처를 어떻게 이겨내야 하나 이런 부분이거든요.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그 부분이 사실은 복지적 측면, 상당히 트라우마에 대한 치유를 어른들이 많이 배려를 해야 되지 않을까. 왜냐하면 가장 의미 있는 타자가 엄마 아니면 아빠입니다. <br /><br />그런데 아빠가 나를 하나의 인질로 삼아서, 수단으로 삼아서 그야말로 폭력을 행사하는 모습을 그대로 목격했다고 하는 점. <br /><br />[앵커] <br />목격뿐만이 아니라 총을 실제로 겨누기도 했었다고 해요.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그렇죠. 겨누기도 하고 총이 실제로 발사되는 모습도 보고. 그래서 아마 잘못하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70518041832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