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지난 19일 박상기 신임 법무부 장관이 취임한 데 이어 내일(24일)엔 문무일 검찰총장 후보자가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미 방산비리를 시작으로 고강도 사정 수사가 이뤄지는 가운데, 새 수뇌부 진용이 갖춰지는 대로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과제 1호인 적폐청산 수사도 본격화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최두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 가운데 최우선 과제인 '적폐청산'과 두 번째 과제인 '반부패 개혁'의 주관부처는 법무부입니다.<br /><br />박상기 신임 법무부 장관은 취임사에서 방산비리를 언급하며 고강도 사정을 예고했습니다.<br /><br />[박상기 / 법무부 장관(지난 19일) : 방산비리는 다른 부패유형과는 차원이 다른 심각한 국가적 범죄입니다. 전투력을 약화하고 병사들을 위험에 빠뜨리며 전시에는 패배를 자초하는 이적행위입니다.]<br /><br />검찰도 이미 한국항공우주산업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'방산비리'를 첫 타깃으로 삼아 반부패 사정수사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청와대에서 박근혜 정부 당시 작성된 문건이 잇따라 발견되면서 국정농단 사건의 재수사도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이 고강도 재조사 방침을 밝힌 4대강 사업도 감사 결과에 따라 이명박 정부 전반에 대한 수사로 확대될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내일 열리는 인사청문회를 거쳐 문무일 검찰총장 후보자가 정식으로 총장에 임명되면 '적폐 청산'에 대한 대대적인 사정 드라이브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일각에선 청와대가 공개적으로 수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검찰이 화답하듯 수사팀을 늘리는 모양새가 정권마다 반복됐던 '하명 수사'가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YTN 최두희[dh0226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72305223013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