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집보다 오랜 시간을 보내는 일터에서, 직장 상사와 부하 직원 간의 이른바 '갑을 지위'를 이용한 폭력이 근절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'인권의 사각지대'라는 지적 속에, 폭력을 뿌리 뽑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조은지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유명 제약회사 종근당의 회장이 수년간 운전기사들에게 해왔다는 폭언입니다.<br /><br />"너 생긴 것부터가 뚱해서, XX아. 살쪄서, 미쳐서 다니면서 XXX 데리고 놀러 다니든지 하지. 뭐하러 회사에 와? 아비가 뭐하는 놈인데 제대로 못 가르치고 이러는 거야?"<br /><br />경비원을 폭행하고, 운전기사를 마구 때리고, 여직원을 성추행하는 등, '갑의 지위'를 이용한 직장 내 폭력은 잊을 만하면 세간을 떠들썩하게 합니다.<br /><br />[최호식 / 호식이두마리 치킨 前 회장 : 물의를 일으킨 데 대해 깊이 머리 숙여 사과드립니다.]<br /><br />욕설과 폭행이 '회장님'의 전유물은 아닙니다.<br /><br />한 중소기업 임원은, 거래처 편을 들며 대들었다며 영업직원을 각목으로 수차례 때렸습니다.<br /><br />하반신에 마비 증세가 온 부하 직원은 '월급쟁이'의 설움을 곱씹습니다.<br /><br />[박 모 씨 / 폭행 피해자 : 일을 하다가 직장 상사가 자기 감정 상한다고 (폭력을 행사했습니다.) 애들 때문에라도 살아야 할 거 아닙니까, 저는.]<br /><br />상사의 부당한 지시에, 혹은 직장 동료의 괴롭힘에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도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한 조사를 보면 직장인 여섯 명 가운데 한 명은 회사에서 신체적 폭력을 당했습니다.<br /><br />대부분은 어차피 해결되지 않을 것 같아 그냥 참았다고 대답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부하 직원을 '노예'로 보는 잘못된 문화가 여전하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[임상혁 / 노동환경건강연구소장 : 상류사회에서 보여줘야 할 도덕성이나 리더십 없이 아주 천하게 돈을 많이 벌어서 (이런 일이 벌어집니다).]<br /><br />업무 효율성을 위해서, 혹은 조직문화 정착을 핑계로 자행되는 이 같은 '사내 폭력'에 이제는 강력한 제도적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YTN 조은지[zone4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72516110605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