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터넷 전문은행 카카오뱅크 돌풍이 매섭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오전 8시 기준으로, 출범 하루 만에 30만 건 이상의 계좌를 유치한 겁니다.<br /><br />30만 계좌.<br /><br />앞서 출범한 케이뱅크는 두 달 가까이 걸렸고, 시중은행의 2년치 실적과 맞먹습니다.<br /><br />카카오뱅크, 어떤 매력으로 승부수를 띄운 걸까요.<br /><br />무기는 바로 편의성, 간편성, 실용성입니다.<br /><br />복잡한 인증과 보안 절차 상당 부분이 사라진데다, 국내 최대 메신저 서비스, 카카오톡과 연계돼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인데요,<br /><br />상대방 계좌를 모르더라도 카카오톡 친구로 등록돼 있다면 돈을 보낼 수가 있습니다.<br /><br />알뜰족도 공략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해지 없이도 중도인출이 가능한 연이율 2%의 예·적금 상품과 연 2.86%의 대출 최저금리를 내세웠고요, 해외 송금 수수료가 시중은행의 10분의 1수준이라는 점, 올해 말까지 현금자동입출금기에서 무료로 입·출금과 이체를 할 수 있다는 점도 매력입니다.<br /><br />언뜻 보면 편리할 것 같죠.<br /><br />하지만 과연 안전할까 걱정도 되실 겁니다.<br /><br />우선 비대면 거래가 원칙이기 때문에 전자금융사기에 취약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요,<br /><br />해킹 등으로 집단 금융사고가 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완벽한 보안 시스템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<br /><br />실제로 가입자들이 몰려 오류가 나고, 접속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 이어지면서, 보안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았는데요.<br /><br />카카오뱅크 측은, 접속자가 몰려 에러가 발생했다며 서버를 늘리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보안 문제와 관련해서는 지문인식 및 IT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암호화를 내세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작고 빼곡한 약관고지도 약점입니다.<br /><br />안 그래도 작은 스마트폰 화면에 글씨마저 작으니, 자칫 소비자에게 불리할 수 있는 정보를 지나치기 쉬운 것이죠.<br /><br />어르신들이라면 더더욱 어려움을 느낄 겁니다.<br /><br />인터넷 거래 특성에 맞는 새로운 기준이 필요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오늘 아침 기준으로, 가입자들이 카카오뱅크에 맡긴 돈은 740억 원, 빌린 돈은 500억 원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시중 은행들은 카카오뱅크의 돌풍에 바짝 긴장한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인터넷 은행의 성장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하면서도, 새로운 상품을 출시하며 맞불을 놓고 있는데요, 지금까지의 상황으로만 본다면, 비대면 영업에서 금융권 전반을 압도한 것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기존 금융 시장에 지각 변동이 시작된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72818555864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